반응형
138. 갯실새삼 (菟絲子, Cuscuta japonica) — 면역조절, 항노화, 간 보호, 정자운동 촉진, 시력보호
1️⃣ 개요
갯실새삼은 한국 남부지방, 동아시아, 남아시아, 호주, 아프리카 열대~난대 지역의 바닷가, 해안가 숲 가장자리 등에서 자생하는 기생성 덩굴식물입니다.
- 학명: Cuscuta japonica Choisy
- 과명: 메꽃과 (Convolvulaceae)
- 특징:
-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는 덩굴줄기, 잎이 거의 없고 노란빛을 띤 실 모양 줄기
- 꽃: 7~8월, 흰색, 작은 덩어리처럼 뭉쳐 핌
- 열매: 납작한 구형 삭과,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종자 4개 내외
- 주 기생식물: 순비기나무, 칡, 억새, 기타 해안식물

2️⃣ 생육과정
✅ 발아: 씨앗에서 발아 후 곧 숙주 식물에 감겨 올라갑니다.
✅ 기생: 뿌리 없이 숙주의 줄기에 기생해 양분·수분을 흡수
✅ 성장: 5~8월 덩굴이 왕성히 자라며 숙주를 덮습니다.✅ 개화: 7~8월, 꽃이 피고 열매가 형성됩니다.
✅ 결실: 8~10월, 종자 형성
3️⃣ 영양성분 (주요 약리 성분)
-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항염 작용
- 리그난(lignan): 항노화, 호르몬 조절 보조
- 베타-시토스테롤: 콜레스테롤 개선, 항염 작용
- 레시틴: 간 보호, 세포막 강화
- 다당류: 면역 조절
- 지방산: 생식능력 개선, 정자운동 촉진

4️⃣ 주요 효능 (전통적 활용 + 현대 연구 기반)
효능설명
면역 조절 | 다당류, 플라보노이드 등이 면역세포 활성화,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를 도와 만성 염증성 질환 예방 보조 |
간 보호 | 레시틴과 항산화 물질이 간세포 손상 억제, 간 효소 수치 정상화 도움. 알코올성·비알코올성 지방간, 간염 초기 단계 보조적 활용 가능 |
시력 보호 |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성분이 망막 세포 산화 손상 예방, 황반변성, 백내장 예방에 도움. 한의학에서는 '눈의 정기를 보강'한다고 기록 |
성기능 강화 | 정자 운동성, 정자 수 증가에 도움 (동물실험·소규모 임상 보고). 음경 냉증, 조루, 유정 증상 완화. 남성호르몬 분비 조절을 통한 생식 기능 보조 |
관절·근골강화 | 허리 통증, 무릎 시림, 관절 냉증 개선. 갯실새삼의 보신(補腎) 작용이 기혈 순환을 돕는다는 전통적 기록 |
이뇨 · 부종 개선 | 산후 부종, 소변불리, 혈뇨, 방울방울 떨어지는 잔뇨 증상 완화. 체내 불필요한 수분 제거에 기여 |
어혈 제거 · 지혈 | 코피, 토혈, 혈뇨 등 혈증 완화. 어혈 제거 + 혈관 내벽 강화 → 혈액순환 정상화 보조 |
✅ 현대 연구
- 생식능력: 갯실새삼 추출물이 정자 형성 촉진, 운동성 향상 (실험적 보고 다수)
- 간 보호: 간세포 보호, 간 효소 수치 조절 (동물실험)
- 시력: 항산화 작용 → 백내장, 망막 변성 예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진행
- 항염·항산화: 플라보노이드·폴리페놀류 다량 함유 → 활성산소 제거, 염증 억제
5️⃣ 활용법 (형태별 구체적 방법과 기대 효과)
형태방법주요 기대 효과
달임차 (토사자차) | 갯실새삼 씨앗 10 |
간 보호, 면역 강화, 생식능력 보조, 시력 보호 |
분말 | 갯실새삼 씨앗을 깨끗이 세척 → 완전 건조 → 분쇄 → 하루 2~3g을 꿀에 개어 복용 (공복 섭취 추천) | 기력 보강, 정기 강화, 허약 체질 개선 |
복합 처방 | 갯실새삼 + 인삼 + 황기 + 구기자 + 복분자 (각 5~10g) → 물 1.5L + 40분 달임 | 간·신 보강, 기력 회복, 노화 방지, 남성 기능 강화 |
약선 요리 | 갯실새삼 씨앗 5g + 쌀 + 대추 + 찹쌀 → 죽, 약밥 형태로 끓임 | 산후 회복, 기력 보충, 간 기능 보조 |
주정 침출액 (민간요법) | 갯실새삼 씨앗 100g + 청주 1L → 밀봉 후 2개월 침출 → 1일 10~20ml 소량 섭취 (주의: 알코올 기반, 전문가 상담 후 사용) | 간 기능 보조, 혈액 순환 보조, 정력 강화 |
✅ 활용 팁
- 갯실새삼은 비린내가 없고 담백한 맛이라 약선요리나 복합탕제에도 쉽게 어울립니다.
- 단일 복용보다는 구기자, 인삼, 복분자 등과 함께 사용하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6️⃣ 주의사항
섭취 시 주의
- 산후 심한 허약자 (오히려 기혈을 더 소모할 수 있음)
- 신경 예민, 불면, 심계항진이 있는 사람 → 피하거나 전문가 상담 필요
- 과량 섭취 시 복부 팽만, 소화 장애 가능
참고
전통 용량: 1일 5~15g (씨앗 기준, 달임용)
복용 기간: 2~4주 단기 복용 후 상태 관찰
'몸을 살리는 약용식물,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0, 다시마, 다양한 건강 효능과 풍부한 미네랄을 지닌 식품, 동맥경화, 고혈압, 변비 (7) | 2025.07.08 |
---|---|
139. 산초나무 (야초), 간질환, 청혈, 이뇨, 해독 (9) | 2025.07.04 |
137, 사철쑥(인진호, Capillary wormwood / カワラヨモギ / 茵陈蒿), 간질환 예방 및 보조 치료, 해독 작용 (8) | 2025.07.03 |
136. 갯방풍 (해방풍, 海防風) (9) | 2025.07.02 |
135. 야관문 (夜關門, 비수리), 천연비아그라, 근육 혈관강화 (5)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