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유래 한방 성분을 활용한 천연 화장품용 보존제는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는 안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자가제조 화장품이나 소규모 브랜드에서 ‘무방부제’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천연 항균·항산화 복합제를 직접 만드는 방식이 유용합니다.
한방 천연 보존제 기본 개념
항목내용
목적 | 화장품의 부패 방지, 세균·곰팡이 억제 |
형태 | 액상 또는 에탄올 기반 추출물 |
기능 | 항균, 항산화, pH 조절, 항염 등 |
보관 조건 | 냉장 또는 서늘한 곳, 밀폐 용기 |
천연 보존제 핵심 재료
재료주요 효능비고
황금(黃芩) | 강력한 항균·항염 성분 (바이칼린, 바이칼레인) | 지성·트러블 제품에 적합 |
감초(甘草) | 항염, 보습, 미백, 산화 억제 | 피부 진정 보완 |
백지(白芷) | 항균, 탈취, 방부 효과 | 보존력 상승 |
녹차잎 | 폴리페놀 → 항산화·항균 | 지성 피부에 적합 |
천궁, 당귀 | 항균, 혈류개선 → 유효성분 침투 보조 | 보존보다는 보완 목적 |
에탄올(곡물발효주정) | 살균 및 보존력 상승 | 20~30% 이하로 조절 |
로즈마리 CO2 추출물 | 강한 항산화, 항균 | 고급 원료로서 보완용 |
글리세린 | 수분 유지, 유효성분 안정화 | 방부보조 역할 |
대표 레시피: 황금·감초 복합 추출 보존제
[재료 준비]
- 황금 건조 약재 10g
- 감초 건조 약재 10g
- 백지 5g
- 95% 곡물 발효 에탄올 100ml
- 정제수 100ml
- 글리세린 5ml (선택)
[만드는 방법]
단계내용
① 약재 세척 및 건조 | 모든 약재를 깨끗이 세척 후 완전히 건조시킴 |
② 침출 준비 | 약재를 잘게 부수어 유리병에 넣음 |
③ 에탄올+정제수 혼합액 붓기 | 100ml 에탄올 + 100ml 정제수 (50:50 비율) 혼합 |
④ 침출 |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2주간 밀봉 침출 (하루 1회 흔들기) |
⑤ 거름 및 여과 | 2주 후 거름망/커피필터로 약재 제거 |
⑥ 글리세린 첨가 (선택) | 안정성과 보습력 향상을 위해 5ml 첨가 |
⑦ 보관 | 암갈색 유리병에 담아 냉장 보관 (6개월 이내 사용 권장) |
사용 시 참고 사항
- 권장 첨가량: 완성 화장품의 1~3%
- pH: 5.0~5.5를 유지하면 방부 효과 향상
- 에센스, 크림, 미스트, 로션류에 적합
- 패치 테스트 필수: 한방 성분은 개인차 주의
주의사항
구분설명
알레르기 반응 | 민감성 피부는 백지, 황금 등 한방성분에 반응 가능 |
에탄올 농도 | 30% 이상이면 피부 자극 가능 |
장기 보관 | DIY 보존제는 제조 후 6개월 이내 사용 권장 |
GMP 불가능 | 자가제조는 식약처 기준상 '무방부제 제품'으로 유통 불가 |
천연 보존제 활용 팁
- 천연화장품 만들 때 항산화제 (비타민 E, 로즈마리 CO2) 와 함께 사용하면 시너지 발생
- 보존력 보완이 필요할 경우 글루코노락톤(Geogard®) 같은 에코서트 인증 보존제와 혼합 사용 가능
- pH가 낮은 제품(예: 산뜻 미스트, 토너류)에 더 효과적
'천연비누 천연화장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용식물 기반 발톱무좀, 치료 미스트 & 연고 만들기 (7) | 2025.04.29 |
---|---|
약용식물로 가려움증 치료, 미스트, 연고 만들기 (5) | 2025.04.29 |
약용식물 무좀 치료 연고 DIY 레시피, 약용성분 설명 (3) | 2025.04.28 |
약용식물로 비듬 샴푸 만들기, 개념→원리→재료→제조법→주의사항→응용버전 (6) | 2025.04.27 |
약용식물을 주원료로 한 기미, 검버섯 제거용 화장품 (14)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