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일상

4월20일, 부활절, 곡우 절기 유래, 곡우의 풍속과 놀이

가천 이박사 2025. 4. 20. 02:23

곡우(穀雨): 봄비가 곡식을 살찌우는 절기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 풍요를 기원하는 봄의 마지막 인사

4월20일, 부활절의 유래, 종교적 의미. 사회적 효과, 상징, 한국의 부활절 문화

 

4월20일, 부활절의 유래, 종교적 의미. 사회적 효과, 상징, 한국의 부활절 문화

1.부활절의 유래부활절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후 사흘 만에 부활한 사건을 기념하는 기독교 최대의 축일이다.성경적 기원:예수는 금요일에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성금요일)

creator8610.tistory.com

 

1.  곡우의 유래와 의미

**곡우(穀雨)**는 한자로 ‘곡식 곡(穀)’과 ‘비 우(雨)’로, **‘곡식에 이로운 봄비가 내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 고대 농서인 《역경(易經)》과 《월령(月令)》에서 유래되었으며, 우리나라에도 고려·조선 시대부터 농경 사회와 함께 중요한 절기 기준점으로 정착했습니다.

곡우는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 음력 3월 중순, 양력 4월 20일경에 해당합니다. 이 무렵은 기온이 점차 올라가고, 봄비가 자주 내리며, 본격적인 농사 준비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2.  시대적 변화와 농경사회

조선시대의 곡우

  • 못자리(모판) 설치볍씨 담그기가 중요한 절차였습니다.
  • 볍씨에 부정(不淨)이 닿지 않도록 조심했으며, 솔가지로 덮거나 금줄을 치는 등의 주술적 풍속이 따랐습니다.
  • 이 시기 비의 유무는 한 해 농사 풍흉을 점치는 기후신앙과도 직결되었습니다.

현대의 곡우

  • 산업화 이후 농사 규모가 커지면서 비닐하우스, 기계파종 등으로 전통 못자리는 줄었지만, 여전히 논농사의 기준 시점으로 삼습니다.
  • 귀농·귀촌 트렌드와 더불어 절기 기반 농법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전통주, 조기, 나물 요리 등과 연계해 슬로우푸드, 로컬푸드 행사로도 확장되고 있습니다.

3.  곡우의 풍속과 놀이

  • 부정 방지 의식: 초상집 다녀온 이가 볍씨를 보면 싹이 트지 않는다는 속신이 있어, 불을 넘어 들어오는 풍속이 존재했습니다.
  • 곡우 고사: 볍씨를 담근 날 밤, 밥을 지어 고사(告祀)를 지내는 풍습이 있으며, 항아리에 금줄을 치기도 합니다.
  • 곡우사리 조기잡이: 황해 일대에서는 조기가 북상하는 시기여서, 곡우사리 조기가 귀한 별미로 꼽혔습니다.
  • 곡우물 마시기: 자작나무·박달나무 수액을 마시며, 여름 더위와 위장병 예방을 기원했습니다.
  • 새쫓기 놀이: 아이들이 떼 지어 돌아다니며 씨앗을 보호하는 의미의 풍속 놀이도 전해졌습니다.
  • 목화씨 파종과 찰밥 먹기: “종자의 명이 질기다”는 의미로, 강인한 생장을 기원하는 식사였습니다.
  •  

4.  곡우의 음식

음식명의미지역별 특징
곡우 나물밥 봄나물을 넣어 지은 밥 곡우 전 나물이 부드럽고 향이 좋다
찰밥 종자의 명을 기원하며 먹음 경북 구미 지역 풍속
곡우 조기 연하고 알이 많아 귀함 전남 영광·황해도에서 최고로 쳤음
곡우 수액(곡우물) 자작나무·박달나무 수액 위장, 신경통 예방

 

5.  곡우의 현대적 의미

곡우는 농경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자, 생명력의 회복과 부활을 상징하는 시기입니다.
현대에 와서는 단순한 농사의 절기를 넘어 자연과의 조화, 생태 감수성 회복, 전통문화 체험의 장으로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 도시농업 교육에서 못자리 체험, 모판 만들기
  • 자연 치유 프로그램에 곡우물 마시기, 숲 명상 등 활용
  • 로컬푸드와 제철 재료 요리 문화와도 연계
  • 곡우를 테마로 한 전통주 시음회, 절기축제도 각지에서 활성화 중

 참고자료

 

24절기(二十四節氣)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기준으로 1년을 24등분하여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절기(二十四節氣)**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기준으로 1년을 24등분하여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것으로, 농사나 일상생활에서 계절감을 파악하기 위해 고안된 전통적인 시간 체계입니다. 중

creator861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