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주

전통주 고모주(姑母酒), 조선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약용 술, 산모의 건강 회복과 여성 질환 치료에 도움을 주는 여성 전용 전통주

가천 이박사 2025. 5. 8. 11:36
반응형

전통주 **고모주(姑母酒)**는 조선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약용 술로, 특히 산모의 건강 회복과 여성 질환 치료에 도움을 주는 여성 전용 전통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고모주란?

  • 정의: 여성의 산후 회복을 돕기 위해 고모가 조카 며느리에게 직접 담가서 선물하던 술.
  • 명칭 유래: ‘고모(姑母)’가 만들어준다는 의미에서 유래
  • 성격: 발효약주 또는 약재 침출주. 보통 찹쌀 또는 멥쌀로 만든 약주를 바탕으로, 당귀, 천궁, 익모초, 생강, 계피 등 여성 건강에 좋은 약재를 담가 만듦.

 2. 유래 및 역사

항목내용
기원 조선 후기 민간에서 여성의 출산 후 회복을 위해 가정에서 직접 담가 사용
사회적 의미 고모가 며느리에게 선물함으로써 가족 간 유대를 강화하는 문화
문헌기록 『동의보감』 및 『산가요록』 등에 비슷한 약술 제조 방식 언급됨
 

 

 3. 영양 성분 (약재 기반)

고모주는 단순 알코올이 아닌, 다음과 같은 약재 유효 성분을 품고 있습니다:

약재주요 성분효능
당귀 페릴알데하이드, 쿠마린 혈액순환 개선, 자궁강화
천궁 세스퀴테르펜류 두통 완화, 어혈 제거
익모초 레오누린, 플라보노이드 자궁 수축 조절, 부종 완화
생강 진저롤 소화촉진, 항염작용
계피 시나믹알데하이드 혈액순환, 보온효과
 

 

 4. 주요 효능

분류내용
산후 회복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을 제거하여 자궁 회복 촉진
생리통 완화 자궁 경련을 줄이고 통증 완화
소화기능 향상 생강과 계피가 위장 기능 보조
피부미용 효과 혈액순환 증진을 통한 피부 톤 개선
 

5. 고모주 전통 제조법 

단계내용
① 약주 담기 (발효 기본주 만들기) - 재료: 멥쌀 또는 찹쌀 2kg, 누룩 300g, 정제수 4L
- 과정: 쌀을 충분히 불린 후 고두밥으로 찌고 식힌다.
- 고두밥에 누룩과 물을 혼합한 후 항아리 또는 발효 용기에 담아 2025℃에서 710일간 1차 발효시킴.
- 목적: 효모가 전분을 당화하고 발효시켜 기본 ‘약주’를 만듦.
② 숙성 및 여과 - 발효가 끝난 약주를 면보나 고운 체로 걸러 맑은 술만 추출.
- 약재 침출 시 잡내 방지를 위해 이 맑은 약주를 2~3주간 저온 숙성 (10~15℃, 냉장 또는 항아리 보관).
- 침전물 제거와 함께 맛을 안정화시키는 과정.
③ 약재 준비 (건조 상태로 사용) - 주재료: 당귀 10g, 천궁 10g, 익모초 15g, 생강 10g, 계피 5g (1L 기준 비율).
- 약재는 깨끗이 세척 후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건조.
- 생강은 편으로 얇게 썰고, 익모초는 작은 조각으로 자름.
- 주의: 한약재에서 먼지·이물질 제거 후 사용.
④ 약재 침출 (온도와 시간 조절) - 준비한 약재를 **약주(또는 35도 내외의 소주)**에 넣어 밀봉.
- 유리병 또는 도자기 병에 넣고 실온(1825℃)에서 1015일간 침출.
- 하루에 한 번 정도 병을 흔들어 약재 성분이 고루 우러나도록 함.
- 색이 붉거나 갈색으로 우러나고 향이 풍부해지면 침출 완료.
⑤ 여과 및 맛 조절 - 체 또는 면보로 약재를 걸러내고, 침출된 고모주만 따로 보관.
- 맛 조절 팁: 너무 쓴 경우 약간의 꿀(1~2%)이나 조청을 첨가 가능.
- 향 조절: 계피향이 강할 경우 침출 기간 단축 권장.
⑥ 병입 및 후숙 - 고모주를 깨끗한 유리병에 담아 밀봉.
- 서늘하고 직사광선 없는 곳에서 1개월 이상 후숙하면 풍미가 더욱 깊어짐.
- 병입 전 알코올 도수 확인 (대개 12~18도 사이).
- 장기 숙성 시 침전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서빙 전 흔들지 말고 따라내기.
 

 

 보충 팁

  • 산후용 고모주는 일반 음용주보다 약재 비율이 더 높고 도수가 낮은 편이 적절합니다. (도수 10~12도 권장)
  • 일반 건강용 고모주는 약재 침출 후 고도소주(25도)로 블렌딩하여 장기 보관이 가능합니다.
  • 침출 베이스 선택
    • 약주 사용 시: 맛이 부드럽고 향긋함
    • 소주 사용 시: 약성이 진하고 보존성 우수

 

 6. 시대에 따른 변화

시대변화 내용
조선시대 민간에서 산모를 위한 약술로만 활용
일제강점기 한약방에서 한방약술 형태로 판매
현대 건강기능성 전통주로 상품화됨. 고급 한정판 술로 개발되기도 함
 

 

 7. 현대화 및 응용

분야현대 응용 사례
기능성 전통주 산후조리원, 한방병원 등에서 ‘산후 건강주’로 제공
한방화장품 고모주 성분을 응용한 자궁 온열팩, 생리통 완화 미스트 등 출시
프리미엄 건강주 ‘여성 전용 전통주’로 리브랜딩, 웰니스 상품군으로 판매됨
레시피 개발 고모주 칵테일, 따뜻한 온주 형태로 제공하는 카페도 등장
 

 

 8. 고모주 관련 주의사항

  • 빈속 섭취 금지: 약재 알코올 추출물이 위를 자극할 수 있음
  • 약물 복용 중인 경우: 혈액순환 약물과 중복작용 주의
  • 임산부 금지: 익모초, 당귀 등은 자궁 수축을 유도할 수 있음

 한눈에 요약 카드

분류내용
이름 고모주 (姑母酒)
용도 여성 건강, 산후 회복용 전통 약술
주원료 약주(찹쌀/멥쌀 기반), 당귀, 천궁, 익모초, 생강, 계피
주요 효능 혈액순환, 생리통 완화, 산후 자궁 회복
현대화 웰니스 전통주, 한방 화장품, 산후조리용 건강주로 발전
주의사항 임산부 금지, 공복 섭취 자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