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을 살리는 약용식물, 약초

관절과 뼈 건강, 진통 및 항염, 여성 질환, 신장 기능 개선, 우슬

가천 이박사 2025. 4. 25. 01:40

우슬(牛膝) – 소의 무릎 닮은 약초, 근골을 보하고 통증을 누그러뜨리다

1.  기본 정보와 이름의 유래

  • 한자명: 牛膝 (소 우, 무릎 슬)
  • 다른 이름: 우경(牛莖), 백배(百倍), 산현채(山莧菜), 대절채(對節菜), 계교골(鷄膠骨)
  • 학명: Achyranthes bidentata Blume
  • **속씨식물 / 비름과(Amaranthaceae)**에 속함

‘우슬’은 줄기에 마디가 있어 그 형태가 소의 무릎과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실제로는 뿌리가 약재로 쓰이며, 이 뿌리는 길고 마디가 선명한 황갈색 덩이뿌리입니다.

중국에서는 하남성 회경(懷慶) 지방에서 나는 우슬을 최고로 쳐서 ‘회우슬(懷牛膝)’이라 부르며 귀한 약재로 여깁니다.

2.  약성(藥性)과 맛

  • 약성: 평(平) → 성질이 순하고 따뜻하지도 차지도 않음
  • 맛: 시고 씀(酸苦)

간(肝), 신(腎) 경락에 작용하며, 뼈와 근육, 관절 건강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3.  주요 유효성분

  • 사포닌(Saponin): 항염, 진통 작용
  • 칼슘(Ca): 뼈 강화
  • 이노시톨, 베타인, 식이섬유 등도 소량 함유
  •  

4.  우슬의 주요 효능

관절과 뼈 건강에 탁월

  • 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요통, 다리 저림, 타박상 등 근골격계 질환 치료에 널리 활용
  • 근육 경련 완화 및 근력 강화에도 도움

 특히 뼈마디가 아프고 무릎이 잘 굽혀지지 않을 때, 우슬을 쪄서 복용하는 민간요법이 전해져 내려옵니다.

진통 및 항염 효과

  • 사포닌 성분으로 염증 완화, 통증 완화 작용 있음
  • 실험적으로도 진통 효과가 입증됨

여성 질환 개선

  • 자궁의 수축력을 높여 생리 불순, 생리통 개선
  • 자궁내 혈액순환 촉진
  • 출산 후 자궁 수축이 잘 안 될 때 보조적으로 사용

소변 이상 및 신장 기능 개선

  • 소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 소변에 피가 섞이는 경우에 사용
  • 이뇨 작용을 돕고, 신장의 기운을 보함

고혈압 및 뇌혈관 질환 보조

  • 혈압을 다소 낮추며, 뇌혈관 경련을 이완
  • 고혈압으로 인한 두통, 어지럼증, 눈의 흐릿함(안화)에 사용

민간 활용법

  • 어린 잎과 줄기는 나물처럼 데쳐 식용 가능
  • 뿌리는 신경통, 관절통 완화용 찜질재나 달임약으로 쓰임
  •  

5.  주의사항

  • 임산부 금기: 자궁 수축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유산 위험
  • 과도한 복용 시 설사 유발
  • 자궁 출혈, 위장이 약한 사람은 피해야 함
  • 다른 이뇨제, 혈압약과의 상호작용에 주의 필요

6.  활용 형태 및 복용법

활용 형태사용 예시
생약재 달임 관절통, 요통 시 우슬 10g + 방풍, 당귀 등과 함께 달여 복용
찜질용 말린 우슬을 뜨거운 물에 우려내어 천에 적셔 찜질
환, 고 관절염, 요통용 한방 제제에 가루로 포함
식용 어린 싹은 봄나물로 데쳐 간장 무침 가능

 

7.  전통 의서 속 우슬

  • 《동의보감》: “우슬은 하초(下焦)의 혈맥을 잘 통하게 하고, 근골을 튼튼히 하며, 어혈을 제거한다.”
  • 《본초강목》: “신장과 간에 들어가며, 오래 복용하면 근골이 강해지고, 귀가 밝아지며, 노화가 늦춰진다.”

 마무리 요약

항목내용
성질 / 맛 평성 / 시고 씀
귀경 간, 신장
주요 효능 관절통 개선, 생리 조절, 이뇨작용, 고혈압 완화
유효성분 사포닌, 칼슘 등
주의사항 임산부 금기, 위장허약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