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을 살리는 약용식물, 약초

여름철 곽란·수종·열사병에 탁월한 천연 한방재, 가는잎산들깨, 석향유,

가천 이박사 2025. 4. 16. 23:21

가는잎산들깨(석향유: 石香薷)

— 여름철 곽란·수종·열사병에 탁월한 천연 한방재

1. 식물 개요 및 형태적 특징

가는잎산들깨는 꿀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석향유(石香薷)’**라는 생약명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향유(香葇), 향용(香茸), 향채(香菜), 밀봉초(蜜蜂草)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그 이름에서도 느껴지듯 특유의 강한 향기를 품고 있어 예로부터 여름철 해열제·향료·가정상비약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 분포: 전국 산야, 밭 가장자리, 양지의 풀밭에서 자생
  • 생육 시기: 여름~가을, 개화기 7~9월
  • 꽃과 잎:
    • 꽃: 줄기 끝 수상화서, 담황색 또는 연한 자주색
    • 잎: 마주나며 길쭉한 피침형 또는 난형(2.53.5cm), 너비는 35mm
    • 줄기: 연한 자색, 부드러운 백색 털 있음
  • 수확 및 건조: 꽃이 필 무렵 전초를 베어 햇볕에 잘 말림.
  • 향기: 진하고 맑은 향, 입에 닿으면 맵고 혀끝이 저리는 느낌

2. 약리 효능 및 한방 활용

🔹 성질과 맛

  • : 맵고 달며
  • 성질: 따뜻함(온성)
  • 독성: 무독성

🔹 주요 약효

주요 질환효능 및 사용법
곽란(霍亂)
복통·설사·토사
향유탕으로 복용. 여름철 열사병 유사 증상에 효과
수종(水腫)
부종, 전신 종기
말린 향유와 백출을 함께 달여 환제로 복용하면 이수 효과
발한·해열 땀을 통해 열을 내리며 몸속 노폐물 배출
이뇨작용 체내 수분대사 조절, 부기 완화
지혈 코피, 혀 출혈 등에 말린 가루나 즙 복용
열풍사(熱風邪) 여름철 급성 열증, 근육 경련 해소
구취·위염 향유의 방향성분이 위열 완화, 입냄새 제거

 

3. 민간 처방 예시

향유탕(香薷湯) – 곽란, 냉한, 설사

  • 재료: 신선한 향유 2냥 + 요자(蓼子) 1냥
  • 방법: 찧어 체로 쳐서, 2돈씩 물 1컵에 넣고 70% 줄도록 달임
  • 복용: 하루 3회 따뜻하게

수종환제 – 부종, 창종

  • 재료: 말린 향유 1근 + 백출 7냥
  • 방법: 향유를 진하게 달여 즙을 내고, 백출가루와 함께 환제로 제조 (벽오동씨 크기)
  • 복용: 1회 10환, 하루 4~5회

혀 출혈

  • 향유즙 1되씩 하루 3회 복용 [출전: 주후방(肘後方)]

코피 멎게 하기

  • 말린 향유를 곱게 갈아 물과 함께 복용

4. 가정 활용법

  • 차(탕제): 여름철 더위 먹었을 때, 신선한 향유를 말려 탕제로 달여 복용
  • 가루 복용: 지혈 효과 (코피·출혈성 증상에 사용)
  • 꽃 활용: 가을에 핀 꽃을 채취해 꽃차로 마시며 향기로움도 함께

 말린 전초는 향이 강하므로 향신료 대용으로 요리나 차에 활용해도 좋습니다.

 

5. 섭취 시 주의사항

다음과 같은 체질에는 복용 금지

증상 또는 체질이유
화성기허(火盛氣虛) 열은 많지만 기운이 약한 체질 – 열을 더욱 자극할 수 있음
음허유열(陰虛有熱) 체내 진액이 부족한데 열 증상이 있는 경우 – 증상 악화 가능성

 민간에서는 여름철 약용 허브로 많이 쓰이나, 체질에 따라 반드시 전문가 상담 후 복용을 권장합니다.

 

 요약 키워드

  • 여름철 약초
  • 곽란, 설사, 수종 치료
  • 탕제, 가루, 환제
  • 강한 방향성, 진정 효과
  • 이뇨, 지혈, 발한

화성체질, 음허열자는 금기
 

DIY 향유차 레시피

여름철 곽란·수분대사·열사 예방에 좋은 전통 한방차

 재료 (1인분 기준)

재료명용량설명
말린 향유 (석향유) 1~2g (한 줌) 여름철 채취 후 그늘에서 잘 말린 것
생강 슬라이스 (선택) 2~3조각 소화 도움, 향 조화
300~500ml 깨끗한 정수 사용
꿀 또는 조청 1작은술 (선택) 구수하고 순한 단맛 보완용

 

 만드는 법

  1. 향유 준비
    • 마른 향유 전초를 살짝 털어낸 후, 흐르는 물에 살짝 씻어 먼지를 제거하고 물기를 뺍니다.
  2. 물 끓이기
    • 주전자나 스테인리스 냄비에 물 500ml를 붓고 끓이기 시작합니다.
  3. 재료 우려내기
    • 물이 팔팔 끓기 시작하면 불을 약하게 줄이고, 향유와 생강(선택)을 넣어 10분간 은은하게 끓입니다.
  4. 건더기 거르기
    • 찻물만 체에 걸러 컵에 따릅니다. 꿀 또는 조청으로 약간의 단맛을 가미해도 좋습니다.
  5. 따뜻하게 마시기
    • 미지근하게 식힌 뒤 마시면 여름철 갈증과 위장 냉증에 모두 효과적입니다.

 활용 팁

  • 냉침 버전: 끓이지 않고 말린 향유를 찬물에 4시간 이상 담가두면 시원한 여름 차로도 즐길 수 있습니다.
  • 향유꽃 차: 향유 꽃만 따로 모아 차로 우려도 풍미가 좋고 은은한 색감이 예쁩니다.
  • 소화불량/더위먹음 전조 증상일 때 복용하면 속이 편안해지고 가벼워집니다.

 주의사항

  •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는 잘 맞지만, 음허 체질(마른 체형에 열이 많은 사람), 또는 진액 부족한 체질에게는 자극적일 수 있으니 주의합니다.
  • 하루 2잔 이상 장기 복용은 피하고, 증상 완화 목적의 단기 복용에 적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