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바늘 (귀침초, 鬼針草) – 자연이 준 해독의 명약
– 황달 · 간염 · 위장염 · 피부질환에 효과적인 민초
1. 도깨비바늘 개요
- 학명: Bidens pilosa
- 생약명: 귀침초(鬼針草)
- 다른 이름: 바늘닥사리, 참귀살이
- 분류: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 서식지: 전국의 들과 산기슭, 양지바른 곳
도깨비바늘은 줄기가 네모지고 잎은 마주나며, 가운데 잎이 깃털처럼 갈라집니다. 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피며, 열매는 바늘처럼 생긴 갈고리 모양으로 동물이나 사람에게 쉽게 달라붙어 종자를 퍼뜨립니다.이 바늘 모양의 열매에서 ‘도깨비바늘’이란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꽃말: 흥분 식용 부위: 어린잎, 줄기 약용 부위: 뿌리, 씨앗, 꽃

2. 약리 성분과 주요 효능
도깨비바늘에는 다음과 같은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다양한 질병에 효과를 보입니다.
주요 성분
- 글루코사이드
- 플라보노이드
- 폴리아세틸렌
- 사포닌
- 탄닌
- 정유(揮發性 오일)
- 알칼로이드
약리 작용 및 효능
구분효능 설명
항염·해독 | 염증 억제 작용이 강해 간염, 위장염, 신장염, 기관지염 등에 효과 |
해열·진통 | 편두통, 인후통, 복통, 요통 완화 |
간 기능 개선 | 황달, 급성 간염, 지방간, 간독성 해소에 도움 |
혈액 정화 | 혈액순환 촉진, 고혈압, 어혈 개선, 부종 완화 |
항당뇨 | 혈당 저하, 고지혈증 조절 |
이뇨작용 | 노폐물 배출, 부기 해소 |
피부질환 개선 | 백반증, 아토피, 종기, 타박상, 옴, 버짐에 효과 |

3. 활용법
① 꽃 담금주
- 시기: 8~10월경 개화기
- 방법:
- 도깨비바늘 꽃을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
- 말린 꽃 기준으로 소주 1.8L당 약 60g 사용
- 서늘한 곳에서 밀봉 숙성 (3개월 이상)
- 하루 3회, 식후 소주잔 1잔씩 (약 10~15ml)
✅ 특히 백반증, 간염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사례 보고 있음
② 차(茶)로 마시기
- 생초: 30~60g
- 건초: 15~30g
- 방법:
- 물 1.2~1.5L에 넣고 중불에서 30분 달임
- 하루 2~3회 식간 또는 식후 음용
✅ 소화불량, 장염, 해독 효과 우수
③ 나물로 식용
- 어린잎과 줄기를 데쳐 나물로 먹으면 해독작용과 간 기능 개선에 도움
④ 발효액 또는 고(膏)로 활용
- 발효액 또는 찜질용 연고 형태로 피부에 적용
- 백반증, 벌레 물린 곳, 타박상에 도포하면 진정효과
4. 주의사항
구분내용
임산부 | 자궁 수축 가능성 있음 → 복용 금지 |
과다복용 주의 | 장기간 고용량 복용 시 설사 유발 가능 |
꽃가루 알레르기 | 국화과 알레르기 있는 사람은 복용 전 테스트 필요 |
5. 참고 민간사례 요약
- 백반증 완치 사례: 도깨비바늘 꽃 담금주를 3개월 숙성 후 4개월간 꾸준히 복용하여 완치된 사례 보고
- 위염 완화: 2주간 차 형태로 섭취하며 통증과 속쓰림이 완화됨
- 아토피 개선: 외용 도포 병행 시 가려움증 및 진물 현저히 줄어듦
요약 카드
항목내용
주요효능 | 항염, 간염·위염 개선, 백반증, 아토피, 해독, 혈액순환, 진통, 이뇨 |
활용방법 | 담금주, 차, 나물, 연고, 발효액 |
복용량 | 생초 30~60g / 건초 15~30g |
금기사항 | 임산부 복용 금지 / 과다복용 주의 |
'몸을 살리는 약용식물,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자나무, 간장보호, 항균작용, 순환계질환 (1) | 2025.04.18 |
---|---|
여름철 곽란·수종·열사병에 탁월한 천연 한방재, 가는잎산들깨, 석향유, (0) | 2025.04.16 |
빈혈, 생식기능, 만성신장염, 혈압, 당뇨, 신경쇠약에 지황(地黃) (6) | 2025.04.12 |
황칠나무(黃漆木) , 항암, 면역력 강화, 항산화, 간 보호, 신경안정의 보물나무 (8) | 2025.04.12 |
고삼, 도둑놈의 지팡이, 아토피 치유, 간섬유화 억제, 항염, 항균, 항산화에 효과 (18)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