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96. 범부채 (Belamcanda chinensis)
주요 효능: 해독, 소염, 편도선염, 인후염, 임파선염 치료
1. 개요 및 생태적 특징
범부채는 붓꽃과(Irid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주로 한국 중남부 지역 및 남쪽 섬지방과 해안가에서 자란다.
물 빠짐이 좋은 양지 또는 반그늘진 풀숲을 좋아하며, 사질양토에서 잘 생육한다.
- 크기: 높이 약 50~100cm.
- 줄기: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 잎: 칼 모양으로 납작하게 퍼지고, 좌우 두 줄로 배열된다. 밑동은 줄기를 감싸고 있음.
- 꽃: 7~8월에 피며, 지름 5~6cm 크기의 꽃이 수평으로 퍼진다.
- 색상: 노란빛이 도는 빨간 바탕에 진한 반점이 뚜렷하다.
- 개화 특성: 한 가지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진 곳에 꽃이 순차적으로 핀다.
- 열매: 9~10월경 타원형(길이 약 3cm)으로 맺히고, 안에는 검고 윤기나는 씨앗이 포도송이처럼 달린다.
특징
범부채의 꽃은 오전 7시 무렵 햇빛을 받으며 싱싱하게 피고, 오후가 되면 시들기 시작하여
다음 날 아침에는 나선형으로 말리면서 꽃잎을 떨어뜨린다.
꽃이 지고 나면 씨앗이 단단히 맺혀 겨울까지 남는다.

2. 약효 및 주요 효능
범부채는 관상용으로 아름답지만, 약용 가치가 뛰어난 식물이다. 특히 뿌리(사간, 射干) 부위를 약재로 사용한다.
작용 부위주요 효능
폐 | 열을 내려주고 해독, 가래를 삭힘 |
비장 | 염증 완화, 어혈 제거 |
간 | 독소 해독, 혈액 순환 개선 |
주요 효능
- 해독작용: 체내 독소를 배출해 염증성 질환 개선
- 소염작용: 편도선염, 인후염, 임파선염, 치주염 등에 효과
- 호흡기 질환 완화: 목이 붓거나 아플 때, 기침, 숨이 찰 때 사용
- 구취 개선: 입 냄새를 줄여주는 데 도움이 됨
- 부인과적 효능: 월경 불순 시 활용
특히 급성 편도선염에는 우방자, 길경, 감초 등과 함께 배합하면 효과가 더욱 빨라진다.
3. 범부채 활용법
1) 기본 사용법
활용 목적사용 부위활용 방법효과
해열 · 인후염 치료 | 뿌리 | 범부채 뿌리 3 |
열 내리고 목 통증 완화 |
치주염 · 치은염 치료 | 달임액 | 진하게 달여 식힌 후 입 안에 머금거나 가글 (1회 30초, 하루 2~3회) | 잇몸 붓기, 출혈, 통증 완화 |
치통 완화 | 뿌리 | 범부채 뿌리 + 골쇄보 각 3g을 함께 달여 복용 | 신경성 치통, 잇몸 통증 완화 |
2) 호흡기 질환 응용
증상/질환배합 재료사용법효능
유행성 감기 + 목 부음 | 범부채 뿌리 단독 or 도라지, 감초와 병용 | 차처럼 달여 따뜻하게 마심 (식후 1일 2회) | 목 부기 및 통증 완화 |
급성 인후염 | 범부채 + 우방자 + 길경 + 감초 | 각 3g씩 달여 500ml 물에 30분 끓여 복용 | 가래 제거, 염증 완화, 목 붓기 진정 |
기관지염 · 기침 | 범부채 + 세신 + 반하 등 거담약 병용 | 한방차 또는 환제 형태 | 가래 배출, 기침 완화, 기관지 보호 |
3) 기타 활용법
활용 형태내용효과
범부채차 | 말린 뿌리 2 |
면역력 강화, 초기 감기 예방 |
환약 | 범부채 분말 + 꿀 or 조청 반죽 → 하루 2~3회 2g씩 복용 | 목 건강 보조, 만성 인후염 예방 |
입욕 or 찜질 | 달인 물을 입욕물에 섞거나 타박 부위 찜질 | 항염 효과, 통증 완화, 피부 진정 |
4) 사용 시 주의사항
- 지속 복용 시: 위장이 약한 사람은 속쓰림, 오심 유발 가능 → 식후 섭취 권장
- 임산부 금기: 자궁 수축 유발 가능성 있음
- 복용 기간: 1~2주 이상 연속 복용은 전문가와 상담 필요
- 용량 주의: 과량 복용 시 구강 자극, 속 쓰림 등 부작용 가능
4. 재배 및 생태적 특징
- 토양: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를 선호.
- 햇빛: 햇볕이 잘 드는 장소에서 잘 자람.
- 개화 습성: 여러 갈래로 퍼진 가지 끝에 4~5개의 꽃이 하루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핀다.
- 씨앗 특성: 꽃가루받이가 성공한 꽃은 검고 윤기 나는 씨앗을 맺으며, 추운 겨울까지 떨어지지 않고 유지된다.
개화 리듬
아침 햇살을 맞으며 피었다가 오후에 시들고,
하루를 살아가는 강한 생명력을 보여준다.
꽃잎이 말리듯 떨어진 자리는 씨앗으로 충실히 이어진다.
요약
구분내용
학명 | Belamcanda chinensis |
분류 | 붓꽃과 다년생 초본 |
주요 부위 | 뿌리(약용), 꽃(관상용) |
약효 | 해독, 소염, 폐·비·간 경락 작용 |
주요 활용 | 편도선염, 인후염, 임파선염, 치주염, 치통 |
주요 성분 | 이소플라보노이드, 베타-시토스테롤 등 |
생육 조건 | 양지, 물빠짐 좋은 사질 토양 |
개화 시기 | 7~8월 |
열매 및 씨앗 | 9~10월, 겨울까지 유지 |
범부채 달임차 레시피

1. 기본 전통 달임법 (정통 방식)
재료 준비
- 범부채 뿌리(건조) 5~10g
- 물 500ml
- (선택) 감초 2g (맛을 부드럽게 하고 인후에 더 좋음)
달이는 방법
- 재료 세척
- 건조된 범부채 뿌리를 깨끗이 헹궈 먼지를 제거합니다.
- 물 붓기
- 깨끗한 냄비에 범부채 뿌리와 물 500ml를 함께 넣습니다.
- 끓이기
- 센 불에서 끓이기 시작해, 물이 끓어오르면 약불로 줄입니다.
- 달이기
- 뚜껑을 살짝 열어둔 채 약한 불에서 약 30~40분간 은근히 달입니다.
- 물의 양이 약 2/3 정도(약 300~350ml)로 줄어들 때까지 달입니다.
- 완성 및 복용
- 체에 걸러 따뜻하게 마십니다.
- 하루 2~3회, 소량씩 나누어 복용합니다.
TIP
약간 쌉쌀하고 시원한 맛이 특징입니다. 맛이 너무 쓰다면 꿀 한 방울을 추가해도 됩니다.
2. 간편 현대식 달임법 (티포트/찻주전자 사용)
재료 준비
- 범부채 뿌리 슬라이스 2
3g (12조각) - 물 300ml
간단한 방법
- 슬라이스된 범부채 뿌리를 찻주전자(또는 티포트)에 넣습니다.
- 끓는 물을 부은 뒤 10~15분간 우려냅니다.
- 따뜻하게 차처럼 마십니다.
이 방법은 특히 목이 칼칼할 때, 초기 감기 기운이 있을 때 편리합니다.
3. 복용법 요약
구분내용
1회량 | 100~150ml 정도 |
1일 복용 횟수 | 2~3회 |
복용 시기 | 식간 또는 저녁 전 따뜻할 때 |
연속 복용 기간 | 3~5일 권장 (긴 기간 복용은 전문가 상담 필요) |
4. 주의사항
- 범부채는 약성이 꽤 강하기 때문에 과용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임산부, 수유부, 만성 질환자(특히 간질환 환자)는 복용 전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 장기간 복용보다는 단기 집중 복용(3~5일)을 권장합니다.
- 인후염, 편도선염 같은 급성 증상이 심할 경우, 다른 치료제와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눈에 보기: "범부채 달임차 레시피 카드"
항목내용
주요 효능 | 해독, 소염, 편도선염·인후염 완화 |
기본 재료 | 범부채 뿌리 5~10g, 물 500ml |
끓이는 시간 | 약 30~40분 (2/3로 줄일 때까지) |
복용 방법 | 하루 2~3회, 따뜻하게 소량 복용 |
추가 팁 | 감초 추가 시 맛 부드러워짐 |
주의사항 | 과용 금지, 임산부·만성질환자 주의 |
'몸을 살리는 약용식물,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 약용식물 조구등 (釣鉤藤, Uncaria sinensis), 항고혈압, 항부정맥, 신경안정, 항치매, 항산화, 심혈관계 (6) | 2025.06.27 |
---|---|
99. 브로콜리, 대표적인 슈퍼푸드, 항암, 심혈관, 며역력, 해독, 눈건강, 뼈건강 (16) | 2025.06.27 |
95. 백선피 (白鮮皮), 항균, 항염증, 항산화, 진정 작용 (13) | 2025.06.26 |
94. 약용식물 파극천(巴戟天), 항암, 혈압 강하, 성기능 강화, 관절염, 골강화 (15) | 2025.06.26 |
93. 약용식물 물푸레나무(목진피, 木槿皮), 한국을 비롯해 동아시아 전역에서 자생하는 낙엽활엽수, 한방에서는 주로 나무껍질을 약용으로 활용 (5)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