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피 (白鮮皮)
1. 개요
- 이름: 백선피 (白鮮皮)
- 학명: Dictamnus dasycarpus Turcz.
- 다른 이름: 백선, 백선근, 독활, 화문초, 사초
- 분류: 운향과(Rutaceae) 백선속(Dictamnus)의 여러해살이풀
- 사용 부위: 주로 뿌리 껍질(백선피)을 약용으로 사용
- 생태: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 산과 들의 햇볕 잘 드는 곳에서 자람.
- 특징:
- 키 약 60~90cm
- 여름철에 흰색 또는 연한 보라색 줄무늬가 있는 꽃이 핌
- 식물 전체에서 레몬 향기 비슷한 방향성 성분을 발산
- 건조하면 껍질이 흰색이 되어 '白鮮皮'라 불림
- 고대부터 주로 피부질환, 염증성 질환 치료에 사용됨
2. 주요 영양성분 및 약리 성분
분류성분명특징
플라보노이드 |
디크타모니신(Dictamnine) |
항염, 항균, 간 보호 효과 |
알칼로이드 |
오복신(Obakunone),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
항진균, 해열 |
쿠마린계 화합물 |
스코포레틴(Scopoletin) |
진정, 해열, 항산화 |
정유 성분 |
리모넨, 사비넨 등 |
방향성, 항염, 해독작용 |
기타 |
트리테르페노이드, 탄닌 등 |
항염, 지혈 |
요약:
백선피는 항균, 항염증, 항산화, 진정 작용이 뛰어난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합니다.
3. 주요 효능
1) 피부질환 개선
- 습진, 건선, 백선(버짐) 등 만성 피부염에 뛰어난 효과
- 가려움증 완화 및 진정
- 진균(곰팡이)성 감염 억제
2) 항염 및 해열 작용
- 체내 염증 억제
- 열을 내리고 염증성 질환을 진정시킴
3) 간 기능 보호
- 디톡스(해독) 작용
- 간염, 간 기능 저하에 도움
4) 항산화 및 면역 강화
5) 항균·항진균 작용
- 박테리아 및 곰팡이균 억제
- 특히 피부 감염에 탁월
4. 활용법
(1) 백선피 달임
- 방법: 백선피 6~12g을 물 500ml에 넣어 약한 불로 30~40분 끓임
- 복용: 하루 2~3회 식후 복용
- 효능: 만성 습진, 피부염, 해열, 간 보호
(2) 외용제로 활용
- 백선피 달인 물을 식힌 후 피부 질환 부위에 세척하거나 거즈에 적셔서 붙이기
- 습진, 버짐, 무좀 등 피부 진균성 질환 치료에 사용
(3) 한방 처방
- 백선피탕(白鮮皮湯):
- 주로 습진, 피부염 치료에 쓰이는 전통 한방 처방
- 백선피 + 황백 + 치자 등을 함께 사용
(4) 백선피 추출물 사용
- 현대에는 백선피 추출물을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기도 함
- 진정 크림
- 여드름 케어 제품
- 트러블 피부용 스킨케어 제품
5. 사용 시 주의사항
주의점설명
과다 복용 금지 |
장기간 다량 복용 시 간 기능 저하, 위장 장애 우려 |
임산부 사용 금지 |
자궁 수축 유발 가능성이 있어 임산부는 복용 금지 |
알레르기 주의 |
피부가 민감한 사람은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 |
병용 주의 |
강한 약리작용을 가진 약물(특히 항진균제, 항생제 등)과 병용 시 주의 |
전문가 상담 |
만성질환자(간질환, 신장질환 환자)는 사용 전 한의사·전문의 상담 권장 |
"백선피는 자연이 준 피부 진정제이자 천연 해독제입니다.
올바르게 활용하면 피부와 간을 보호하고 염증을 다스릴 수 있습니다.
단, 과용은 금물! 섬세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파프리카, 유래부터 영양성분, 건강 효능, 다양한 활용법까지 (9) |
2025.04.29 |
범부채, 해독, 소염, 편도선염, 인후염, 임파선염 (12) |
2025.04.29 |
파극천(巴戟天), 항암, 혈압 강하, 성기능 강화, 관절염, 골강화 (12) |
2025.04.27 |
방광염 · 지혈 · 소염 · 여성 질환 · 피부 질환, 배롱나무, 자미화 (8) |
2025.04.25 |
관절과 뼈 건강, 진통 및 항염, 여성 질환, 신장 기능 개선, 우슬 (15)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