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푸레나무(목진피, 木槿皮)는 한국을 비롯해 동아시아 전역에서 자생하는 낙엽활엽수로, 한방에서는 주로 나무껍질을 약용으로 활용합니다.
1. 개요
항목내용
한글명 | 물푸레나무, 목진피(木槿皮) |
학명 | Fraxinus rhynchophylla |
분류 | 물푸레나무과(Oleaceae) / 낙엽 활엽 교목 |
사용 부위 | 나무껍질(줄기 및 가지의 외피) |
채취 시기 | 주로 봄~여름에 껍질 채취 → 건조 후 약재로 이용 |
약재명 | 진피(秦皮)라고도 부르며, 목진피는 이를 가리키는 별칭 |
2. 주요 영양성분 및 약리 성분
분류성분기능
리그난(lignan) | 프락시놀리드(Fraxinolide) | 항산화, 항염증 |
페놀 화합물 | 프락시네틴(Fraxetin), 에스쿨레틴(Esculetin) | 항균, 간 보호 |
플라보노이드 | 루틴, 케르세틴 | 모세혈관 강화, 항염 작용 |
탄닌 | 갈산(Gallic acid) 등 | 수렴, 항산화 |
정유 성분 | 휘발성 방향 성분 | 살균 및 항염 |
3. 주요 효능
효능 구분상세 설명
청열해독 (淸熱解毒) | 몸속 열독(熱毒)을 제거하여 염증과 발적(붉음)을 가라앉힘. 특히 결막염, 인두염, 피부 트러블 등에 응용 |
이습거습 (利濕祛濕) | 체내에 쌓인 습기(濕氣)를 배출시켜 복부 팽만감, 설사, 관절통, 부종 등 개선. 습열(濕熱)성 설사에 효과적 |
안질환 완화 | 안구 충혈, 가려움, 눈곱, 염증 등에 사용. 결막염·안검염 환자에 탕액 세척제로 활용 |
통풍·관절염 개선 | 목진피는 요산 대사를 도와 통풍 예방 및 관절염 통증, 부종, 염증 완화에 도움. 이뇨 작용과 간 기능 개선을 통해 간접적 요산 배출 효과도 있음 |
항염·항균 작용 | 피부염, 종기, 아토피 등 피부 염증성 질환에 효과적. 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의 항균·항진균 작용이 과학적으로 보고됨 |
간 기능 보호 | 간세포를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며, 간 해독을 도와 숙취 해소·간염 보조 치료에 활용 가능. 특히 간열(肝熱)성 두통·구토 등에도 응용 |

4. 활용법 (전통 + 현대 응용 )
① 목진피탕 (內服: 한방차)
항목내용
재료 | 건조 목진피 5~10g |
달이는 법 | 물 500ml에 넣고 약한 불에서 20~30분 달임 |
섭취법 | 하루 1~2회 식후 따뜻하게 음용 |
적응증 | 결막염, 눈 가려움, 습열성 설사, 통풍, 부종, 구강 궤양 등 |
응용 포인트:
다른 약재(황련, 감초, 복령 등)와 함께 혼합 시 시너지 효과 발생.
→ 예: "진피해독탕" 구성으로 염증성 열독 제거.
② 외용 탕액 (皮膚 및 眼病 세척)
사용법설명
피부 세정 | 목진피 15g + 물 1L 끓임 → 식혀서 환부에 도포 or 거즈에 적셔 찜질 |
눈 세척 | 거즈에 식힌 탕액 적셔 10분간 안대처럼 사용 (염증 진정) |
효능 | 가려움 완화, 종기·피부염 진정, 결막염 등 안질환 완화 |
주의사항: 안질환용으로 사용할 경우 완전 식힘 + 깨끗한 거름망 필터링 후 사용 필수
③ 복합탕제 처방 활용
탕제 종류구성 약재적응증
청열제 | 목진피 + 황련 + 황백 | 열독으로 인한 염증, 발열, 구강궤양 등 |
이습제 | 목진피 + 창출 + 복령 | 장내 습열로 인한 설사, 복통, 복부 냉감 |
통풍·이뇨제 | 목진피 + 목통 + 차전자 | 요산 수치 조절, 관절 부종, 통풍 관리 |
현대 임상 활용: ‘간·신 기능 조절탕’, ‘항염 이뇨탕’ 등으로 응용
④ 현대 응용 제품화 사례
분야제품 유형활용 방식
건강기능식품 | 캡슐, 분말환 | 간 기능 보조, 통풍 예방, 항염 목적으로 복용 |
천연 화장품 | 진정 로션, 아토피 케어 토너 | 목진피 추출물을 항염·진정·수렴 성분으로 배합 |
한방 블렌딩차 | 목진피 + 결명자 + 감초 | 눈 건강, 간 기능, 열독 해소용 블렌딩차 |
한방 좌약·외용제 | 습진 연고, 항염 크림 | 천연 항균성분으로 피부 질환 치료에 응용 |
허브목욕제 | 탕제 추출액 or 목욕용 티백 | 염증 완화, 통증 진정, 항균 목적 스파제품화 |
5. 주의사항
항목주의 설명
과복용 금지 | 장기 과복용 시 간·신장 부담 우려 있음 |
임산부/어린이 | 사용 전 전문가 상담 필요 (독성은 낮지만 작용이 강함) |
약물 상호작용 | 통풍약, 이뇨제 복용자 주의 요망 (요산 배출 조절 가능성) |
안약 대용 사용 시 | 반드시 깨끗하게 여과 후 사용 (세균 감염 주의) |
요약 카드
항목내용 요약
이름 | 물푸레나무(목진피, 진피) |
주요 효능 | 청열·이습, 안질환 개선, 통풍 완화, 간 보호 |
주요 성분 | 프락시놀리드, 플라보노이드, 탄닌 등 |
복용법 | 탕약(내복), 찜질수(외용), 한방차 등 |
주의사항 | 과다복용·안약 사용 시 위생 주의, 약물 상호작용 유의 |
'몸을 살리는 약용식물,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 백선피 (白鮮皮), 항균, 항염증, 항산화, 진정 작용 (13) | 2025.06.26 |
---|---|
94. 약용식물 파극천(巴戟天), 항암, 혈압 강하, 성기능 강화, 관절염, 골강화 (15) | 2025.06.26 |
92. 약용식물 배롱나무 (자미화, 紫薇花), 지혈, 소염, 여성 질환, 피부 질환 (9) | 2025.06.25 |
91. 우슬(牛膝), 소의 무릎 닮은 약초, 근골을 보하고 통증을 누그러뜨리다, 관절과 뼈 건강, 진통 및 항염, 여성 질환, 신장 기능 개선, (17) | 2025.06.25 |
90. 용담(龍膽, Gentiana scabra), 항암효과, 해열, 이담, 소염, (6)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