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명자(決明子)는 예로부터 '눈을 밝히는 씨앗'이라는 뜻으로 불리며, 한방에서 간과 눈 건강을 동시에 다스리는 대표적인 약용식물입니다. 아래는 결명자의 개요, 영양성분, 약리효능, 활용법, 주의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11. 결명자(決明子, Cassia tora) – 눈을 맑게, 간을 편하게
1. 개요
항목설명
학명 | Cassia tora, Senna obtusifolia |
속명 | 콩과(Fabaceae) 센나속(Senna) |
다른 이름 | 야결명(野決明), 초결명 |
원산지 | 열대 아메리카 (주로 미국 남부) |
국내 재배 | 전국 각지 밭에서 재배 |
형태 | 높이 30~80cm의 한해살이풀, 노란 꽃, 곡선형 꼬투리에 윤기 나는 씨앗 |
- 씨앗은 길이 3~6mm의 기둥 모양이며, 특유의 세로 줄무늬가 있음.
- 주로 씨앗(결명자)을 약재 또는 차 재료로 활용.
2. 영양성분 & 약리 성분
주요 성분효능
안트라퀴논 유도체 (에모딘, 오브투신, 오브투시폴린 등) | 변비 개선, 간 기능 보호 |
플라보노이드 | 항산화, 혈관 보호 |
글리코사이드류 | 항염, 간세포 재생 유도 |
비타민 A, 루테인 소량 | 눈 건강 유지 |
식이섬유 | 장 운동 촉진 |
3. 약리효능
구분효능 설명

눈 건강 | 야맹증, 결막염, 안구건조증, 백내장, 녹내장 예방과 개선에 탁월 |
간 기능 개선 | 간염, 간경화, 간기능 저하 증상 완화 |
변비 완화 | 대장 자극 완화 및 배변 촉진 (안트라퀴논 작용) |
이뇨 및 부종 해소 | 신장의 부담을 덜어주고 복수를 제거함 |
혈압 & 콜레스테롤 조절 | 고혈압 예방, LDL 저하, 혈관 건강 증진 |
숙취 해소 | 과음 후 간 해독 촉진, 두통 완화 |
구강염 치료 | 진하게 달여 입에 머금으면 항염작용 |
해독 & 항산화 | 체내 독소 배출, 노화 억제 작용 |
4. 활용법

1) 결명자차 만들기 (기본차)
- 재료: 결명자 10g / 물 500mL
- 방법: 약한 불에서 10~15분간 끓여 1일 2~3회 음용
- ✅ 눈 피로, 간 피로, 숙취 해소에 효과적
2) 대황 + 결명자차 (변비 개선)
- 대황과 함께 1:1 비율로 끓여 마시면 장운동 촉진
3) 꿀 결명자차 (피부 트러블 & 숙면 보조)
- 결명자차에 꿀 1작은술을 타서 마시면 편안한 숙면 유도
4) 구강세척용 달임액
- 결명자를 진하게 다려 하루 3
4회 23분간 입에 머금으면 구강염, 잇몸 염증에 효과
5) 입욕제 & 눈찜질용
- 진하게 우린 물을 욕조에 넣거나, 거즈에 적셔 눈 위에 찜질 → 눈의 피로 해소
5. 주의사항
항목설명
저혈압자 금기 | 결명자 성분이 혈압을 낮추므로 저혈압 환자는 복용 금지 |
과다복용 주의 | 설사 유발, 장내 점막 자극 우려 있음 (1일 10~15g 이내 권장) |
삼씨와 함께 금지 | 전통적으로 삼씨와 결명자 함께 쓰면 좋지 않다고 전함 |
임산부 주의 | 이뇨작용과 자궁 수축 가능성으로 권장되지 않음 |
TIP. 결명자 보관 & 선택법
- 볶지 않은 생결명자는 약성이 강하나 자극적 → 볶아서 사용하면 부드럽고 음용에 적합
- 공기가 통하지 않는 밀폐용기에 넣고 서늘한 곳 보관
- 윤기 있고 색이 일정하며 벌레 먹지 않은 씨앗 선택
결명자의 현대적 응용
- ✔ 기능성 건강차, 숙취해소 음료 원료
- ✔ 눈 피로를 줄이는 아이케어 기능성 식품
✔ 클렌징 티, 디톡스 블렌딩 차에 다용도 활용
'몸을 살리는 약용식물,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현미(玄米, Brown Rice), 식이섬유, 미네랄, 비타민, 자연식’, ‘건강식’의 상징 (4) | 2025.05.14 |
---|---|
108. 가바쌀(GABA rice), 쌀에 'GABA(γ-아미노뷰티르산)' 성분이 풍부해지도록 만든 기능성 쌀 (3) | 2025.05.13 |
약용식물 가막사리 (Bidens tripartita), 항산화, 항암, 염증, 출혈, 피부질환 (9) | 2025.05.10 |
127. 둥근마 (黃獨 Dioscorea bulbifera), 위장 보호, 소화 촉진, 혈당조절 (8) | 2025.05.10 |
125. 약용식물 금채석곡(金釵石斛), 항산화, 면역 강화, 다양한 건강 효능 (7)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