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흔히 ‘음양곽(淫羊藿)’으로도 불리는 이 약초는 예로부터 강장제, 최음제, 신경쇠약 치료제로 유명한 약용 식물입니다.
1. 개요
항목내용
학명 | Epimedium koreanum Nakai |
속명 | Epimedium속 (메귀리과 Berberidaceae) |
별칭 | 음양곽(淫羊藿), 삼지구엽초, 정력풀, 산양초 |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산림 지역 |
주요 부위 | 지상부(줄기, 잎)와 뿌리 |
생약명 | 淫羊藿 (음양곽) — 성욕을 자극한다는 의미 |
2. 생육 과정
생육 단계설명
발아 | 3~4월, 산지 반그늘의 부엽토층에서 싹틈 |
생장 | 4~7월, 세 갈래 줄기에서 각각 3개의 잎이 3층으로 배열됨 (총 9엽) |
개화 | 5~6월, 노란색 또는 연보라 꽃이 피며, 꿀벌의 주요 밀원식물 중 하나 |
수확 | 6~7월 이후, 지상부 수확하여 음건 (그늘에서 말림) |
자생지 | 해발 500m 이상 음지, 습윤한 산지의 나무 아래 자생 |
3. 주요 영양·약리 성분
성분작용
이카리인 (Icariin) | 음양곽의 핵심 성분. PDE-5 억제 작용 → 혈관 이완, 발기 기능 개선 |
플라보노이드 | 항산화, 항염, 면역 증강 |
폴리페놀류 | 노화 억제, 세포 보호 |
스테롤류 | 호르몬 유사 작용, 정력 보조 |
정유 성분 | 혈액순환 촉진, 자극 작용 |
알칼로이드 | 중추신경 자극, 피로 회복 |

4. 주요 효능 (전통적 이해 + 현대 약리 연구 기반)
효능설명
강정 · 강장 효과 | 신장(腎臟) 기능 강화로 성기능 저하, 만성 피로, 요통, 무릎 약화 등 증상 개선에 도움. 근육·뼈의 기운을 보하고 원기 회복에 쓰임. |
최음 작용 | 핵심 성분인 **이카리인(Icariin)**이 혈관 확장 및 PDE-5 억제 작용 → 발기력 향상, 성욕 증진. 전통적으로 남녀 정력제에 사용. |
기력 회복 · 피로 개선 | 만성적인 피로, 무기력증, 식욕 저하 시 에너지 회복에 보조 효과. 노화로 인한 기력 약화에도 사용. |
신경 안정 · 신경쇠약 완화 | 불면증, 긴장, 두근거림, 신경성 무기력 등에 활용. 중추신경 안정 작용 보고됨. 스트레스성 질환에 보조적. |
골다공증 예방 | 플라보노이드 및 식물성 스테롤이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을 하여 뼈 대사 개선에 도움. 폐경기 여성의 뼈 건강 보조. |
심혈관 건강 | 혈관 확장 및 혈류 개선 → 혈압 조절, 심혈관 질환 위험 완화 가능성 연구. 항산화 효과도 심혈관 보호에 기여. |
✅ 현대 연구 참고:
- 이카리인은 PDE-5 효소를 억제하여 발기 기능을 보조하는 작용을 하며, 이는 실험적으로 비아그라(Viagra)와 유사한 기전을 가짐.
- 단, 약리 효과는 일정 수준이며 의약품 대체보다는 보완제로 사용해야 함.
5. 활용법 (실제 복용 형태별 상세 정리)
형태세부 방법기대 효과 및 비고

한방 탕제 | 음양곽 10~15g + 복분자, 황기, 오미자, 구기자 등과 함께 1L 물에 약한 불로 40~60분 달임. | 기력 회복, 성기능 강화, 신장 허약 보조. 고전 한약 처방에서 자주 사용됨. |
차 형태(단일 추출) | 음양곽 잎·줄기 말린 것 5~10g + 물 500ml → 30분 이상 끓여 1일 2~3회 복용 | 피로 회복, 면역 강화, 항산화 작용. 첫 복용은 저용량부터 시작 권장. |
외용 추출액 (침출형) | 말린 음양곽을 40~70% 농도의 에탄올(주정)에 넣고 밀봉, 직사광선 피하여 2~4주 숙성 → 거름망으로 거름 | 관절 통증, 근육통 부위에 마사지 오일, 연고 형태로 활용 가능. 혈액순환 보조 |
약주 형태 (강장주) | 음양곽 30g + 복분자 30g + 꿀 50g + 소주(35도 이상) 1L → 밀봉 후 30일 이상 숙성 | 강장주로 하루 1잔(30ml 이하) 섭취. 피로 회복, 스태미너 보조. 체질에 따라 꿀 대신 대추 또는 오미자 추가 가능 |
분말/환제 활용 | 말린 음양곽을 곱게 분쇄해 분말로 사용. 하루 1~3g 정도를 꿀이나 미지근한 물에 타서 복용 | 장기 복용에 적합. 기력 회복, 성욕 감퇴 예방에 활용됨. 어린이 및 임산부는 금지 |

🔄 활용 팁 및 복합 활용 예시
- ✅ 복합 배합 추천
- 목적배합 예시
남성 강장 음양곽 + 복분자 + 오가피 + 인삼 여성 피로 개선 음양곽 + 구기자 + 당귀 + 대추 관절 통증 완화 외용 음양곽 + 자초 + 감초 + 주정 침출 - 🔄 복용 주기:
강한 자극성 특성이 있어 2~3주 복용 후 1주 휴식하는 주기 권장. - 💧 체질 주의:
몸에 열이 많거나, 고혈압·심장질환 환자는 복용 전 전문가 상담 필요.
6. 주의사항
구분설명
과다 복용 주의 | 성기능 개선 목적 과용 시 두통, 현기증, 불면 유발 가능 |
임산부·소아 | 성호르몬에 영향 우려 → 복용 금지 |
고혈압·심장질환 환자 | 혈관 확장 작용으로 약물 간 상호작용 우려 → 전문의 상담 필요 |
복용 주기 | 연속 복용 2~3주 후 1주 휴식 권장 (자극성 보조제 성격 고려) |
요약 (한눈에 보기)
구분핵심 요약
이름 | 삼지구엽초 (Epimedium koreanum) / 음양곽 |
핵심 성분 | 이카리인, 플라보노이드, 정유, 알칼로이드 |
효능 | 강장, 최음, 신경안정, 피로 회복, 골강화 |
활용법 | 탕제, 차, 약주, 외용추출액 |
주의 | 과다 섭취 시 자극 유발 가능 / 임산부 금지 |
'몸을 살리는 약용식물,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4, 쉽싸리 (택란, 학명: Lysimachia clethroides),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 약용 및 관상용으로 활용, 활혈, 이수, 소종, 해독 (5) | 2025.07.09 |
---|---|
143, 쇠고비(관중, 학명: Dryopteris crassirhizoma), 건위, 해열, 이뇨, 살충 (5) | 2025.07.09 |
140, 다시마, 다양한 건강 효능과 풍부한 미네랄을 지닌 식품, 동맥경화, 고혈압, 변비 (7) | 2025.07.08 |
139. 산초나무 (야초), 간질환, 청혈, 이뇨, 해독 (9) | 2025.07.04 |
138. 갯실새삼 (菟絲子, Cuscuta japonica), 면역조절, 항노화, 간 보호, 정자운동 촉진, 시력보호 (6)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