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3

살구씨(행인)를 활용한 MP 비누 만들기

살구씨(살구 핵, 살구핵오일 등)는 비누나 화장품에 많이 활용되는 재료예요. 특히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은 보습력이 뛰어나고, 각질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살구씨 가루는 스크럽제로도 활용됩니다.  살구씨 MP 비누 만들기 사용 재료 (100g 기준)MP비누 베이스 (글리세린 비누베이스) – 100g(투명 또는 화이트, 개인 취향에 맞게)살구씨 오일 – 2~5g(보습과 영양 공급)살구씨 스크럽 가루 – 1~3g(각질 제거, 텍스처)에센셜 오일 – 2~5방울(라벤더, 오렌지, 베르가못 등 상큼한 향 추천)첨가제 (선택사항) – 꿀, 비타민E 오일 등몰드 – 실리콘 비누틀 만들기 과정준비하기비누 베이스를 잘게 썰어 준비합니다.살구씨 오일, 가루, 에센셜 오일 등도 미리 계량해 두..

봄의 향기와 맛을 담은 술, 도화주(桃花酒)

도화주(桃花酒) – 봄의 향기와 맛을 담은 술도화주(桃花酒)는 복숭아꽃을 재료로 하여 봄철에 담그는 전통 가향주(加香酒)입니다. 꽃이 피는 계절에만 담글 수 있어 ‘계절주(季節酒)’로도 불리며, 꽃 향이 은은히 배어드는 그 맛은 봄날의 정취를 그대로 담고 있어 오래도록 사랑받아왔습니다. 1. 복숭아꽃 – 술의 시작, 향기의 씨앗복숭아꽃을 수확하는 시점은 봄, 꽃봉오리가 막 터지는 시기입니다. 이른 아침, 꽃잎에 생기가 가득한 시간대에 꽃을 따는 것이 중요합니다.꽃은 피어나는 순간부터 그 아름다움과 향기를 절정으로 향해가기 때문에, 봉오리가 막 열리기 시작한 시점부터 반쯤 핀 꽃까지 골고루 수확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너무 활짝 핀 꽃은 향이 빠지고 식감이 떨어지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수확한 꽃은..

한국의 전통주 2025.04.08

고구마를 활용한 MP(Melt and Pour, 녹여 붓기) 비누 만들기

고구마를 활용한 MP(Melt and Pour, 녹여 붓기) 비누 만들기는 재미있고 영양도 더할 수 있는 자연주의 DIY 프로젝트입니다. 아래에 고구마 MP비누 레시피와 제작법 고구마 MP비누 만들기 레시피 준비 재료 (비누 약 100g 기준)MP 비누 베이스: 100g (글리세린 베이스 또는 투명/백색 베이스)고구마 퓨레: 1작은술 (미리 삶아서 으깬 것)식물성 오일: 1작은술 (예: 올리브오일, 해바라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등)에센셜 오일: 5방울 (라벤더, 티트리, 오렌지 등 기호에 맞게)천연 색소 (선택): 약간 (더 진한 보라색/노란색 원하면)몰드(비누틀), 비커, 스푼, 전자레인지 또는 중탕 도구 만들기 순서고구마 준비하기삶은 고구마를 잘 으깨고 체에 걸러 부드러운 퓨레로 준비해 둡니다. 수분기..

캅사이신과 함께 비타민 C, 베타카로틴, 식이섬유 등이 풍부한 청고추 발효효소 & 발효식초

청고추 발효효소 · 발효식초란?청고추 발효효소와 청고추 발효식초는 청고추를 자연적으로 발효시켜 만든 건강 발효음료 혹은 조미료입니다.발효효소는 과일이나 채소에 설탕을 넣고 미생물의 활동을 유도해, 체내 흡수가 용이한 상태로 만든 발효액입니다.발효식초는 이러한 발효효소나 당분을 발효한 후 초산균의 작용으로 초산(식초의 주성분)을 생성한 제품입니다. 주요 원료: 청고추청고추는 붉게 익기 전 단계의 고추로, 일반적으로 매운맛이 좀 더 강하며 생생한 풋향을 가집니다.매운맛 성분인 캅사이신과 함께 비타민 C, 베타카로틴, 식이섬유 등이 풍부해 발효 후 건강기능성이 더욱 강조됩니다. 발효 과정1. 청고추 효소 발효주원료: 깨끗이 세척한 청고추 + 설탕 또는 비정제 원당(1:1 비율)부재료(선택): 생강, 마늘, 레..

전통주, 전통가양주, 유산균이 풍부한 이화주

1. 이화주의 이름과 유래이화주(梨花酒)는 "배꽃이 피는 계절에 술을 빚는다" 하여 이름 붙여진 전통주입니다. 이화(梨花)는 배나무 꽃을 의미하며, 보통 3월 하순부터 과수원에 희고 고운 자태로 만발합니다. 이러한 배꽃이 필 무렵 빚는 술이기에 ‘이화주’라 불립니다.이화주는 고려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주로, 그 빛깔이 희고 질감이 된죽(묽지 않고 걸쭉한 죽)과 같아 그냥 떠 먹기도 하고, 여름철엔 찬물에 타서 막걸리처럼 마시기도 했습니다.2. 이화주의 특징쌀로만 빚는 술이화주는 다른 일반 탁주와는 달리 **쌀로 만든 누룩(이화곡)**과 떡으로 술을 빚습니다. 물을 거의 쓰지 않고 쌀로만 빚기 때문에, 예로부터 고급 탁주로 여겨졌습니다.알코올 도수알코올 도수는 보통 3~5도 정도로 낮은 편입니다.상류층에..

한국의 전통주 2025.04.07

우슬(쇠무릎)의 개요, 효능, 금기사항, 활용법 등

1, 우슬(쇠무릎)의 개요우슬(牛膝)은 비름과(Amaranth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뿌리 부분을 말린 약재입니다. 식물 줄기에 있는 마디 부분이 마치 소의 무릎처럼 생겼다고 하여 ‘우슬(소 무릎)’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동아시아 전역에서 자생하며, 한방에서 매우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약재입니다.2. 우슬의 주요 성분 및 효능1) 주요 유효 성분사포닌(Saponin): 항염, 진통, 면역증강 효과칼슘(Ca): 뼈 건강 및 신경 전달 기능에 필수이외에도 아미노산, 스테롤, 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2) 효능 및 작용● 관절 및 근골격계 개선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요통, 무릎 관절..

미래(10~20년 내)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직업 15가지, 전망이 밝은 직업 15가지, 새로 생겨날 가능성이 높은 직업 15가지에 대한 예측과 각각의 이유

( 제가 AI 에게 질문 해서 얻은 답입니다. 제 생각도 같습니다. 정답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미래(10~20년 내) 기준으로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직업 15가지, 전망이 밝은 직업 15가지, 새로 생겨날 가능성이 높은 직업 15가지에 대한 예측과 각각의 상세한 이유를 정리한 자료입니다.1. 미래에 사라지기 쉬운 직업 15가지(주요 원인: 자동화, AI, 디지털화, 소비 트렌드 변화 등)직업사라지는 이유1. 은행 창구 직원모바일/인터넷 뱅킹의 대중화로 오프라인 창구 수요 감소2. 텔레마케터AI 챗봇, 음성 인식 기술 발전으로 자동화 가능3. 주차 요원자율주행차, 스마트 주차 시스템 확산4. 마트 계산원무인 계산대, 자동 결제 기술 증가5. 버스/택시 운전사자율주행 기술의..

건강한 일상 2025.04.07

알로에의 영양성분과 효능, 알로에 MP비누 만들기

알로에는 피부에 좋은 대표적인 천연 원료 중 하나로, 피부 진정, 보습, 재생 효과가 뛰어나서 화장품, 비누, 건강식품에 널리 활용됩니다. 알로에의 영양성분과 효능주요 영양성분성분설명 및 효과알로에베린(Aloeverin)강력한 항염 작용. 피부 트러블, 염증 완화무코다당류보습력 강화. 수분 유지에 탁월비타민 A, C, E항산화 작용. 피부 노화 방지폴리페놀항균, 항바이러스 작용아세만난(Acemannan)피부 재생 및 면역력 강화. 상처 치유에 도움아미노산, 미네랄피부에 영양 공급 및 장벽 강화피부에 좋은 효능보습 & 진정: 햇빛에 그을린 피부, 민감성 피부에 진정 효과항염 & 항균: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완화에 도움피부 재생: 상처 회복 촉진 및 흉터 완화노화 방지: 주름, 탄력 저하 예방각질 제거: ..

관절염과 동맥경화에 좋은 두충나무

관절염과 동맥경화에 좋은 두충나무(杜沖, Hardy Rubber Tree) 두충나무란? 두충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인 약용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귀화식물로 정착하여 약초 농가에서 재배되기도 하고 관상용으로도 심어지는 나무입니다. 학명은 Eucommia ulmoides Oliver, 두충과에 속합니다.두충나무는 추위에 강한 낙엽 교목으로, 줄기는 10m 정도까지 자라며, 잎은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잔톱니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꽃은 수꽃과 암꽃이 따로 피는 이가화(二家花)이며, 열매는 날개 달린 긴 타원형으로, 자르면 고무처럼 끈적한 점질의 실이 나옵니다.  약재로 쓰이는 부분: 두충나무껍질두충의 약용 부위는 줄기의 껍질입니다. 이를 말려서 차처럼 끓여 마시거나 한방 처방에 활용합니다. 두충나무껍질의 ..

전통주, 현대적 감각의 감향주(甘香酒) 빚기 – 전통의 맛을 오늘에 담다

감향주(甘香酒) 빚기 1. 감향주의 유래 감향주는 말 그대로 ‘그 맛이 꿀처럼 달고 향기롭다’는 뜻을 가진 전통주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부드럽고 달콤한 맛과 은은한 향이 어우러진 것이 특징입니다. 감향주는 『요록』, 『규곤시의방』, 『규합총서』, 『양주방』, 『김승지댁 주방문』 등 여러 고조리서에 등장하며, 총 8가지의 빚는 법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언제부턴가 그 맥이 끊기면서, 오늘날에는 거의 빚지 않는 술이 되었습니다. 감향주는 사용하는 쌀의 종류, 쌀의 형태, 그리고 누룩과의 배합 비율에 따라 다양한 맛과 향을 낼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달라도, 공통적으로 그 맛이 부드럽고 향기롭다는 점에서 감향주로 불립니다..

한국의 전통주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