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2

관절과 뼈 건강, 진통 및 항염, 여성 질환, 신장 기능 개선, 우슬

우슬(牛膝) – 소의 무릎 닮은 약초, 근골을 보하고 통증을 누그러뜨리다1. 기본 정보와 이름의 유래한자명: 牛膝 (소 우, 무릎 슬)다른 이름: 우경(牛莖), 백배(百倍), 산현채(山莧菜), 대절채(對節菜), 계교골(鷄膠骨)학명: Achyranthes bidentata Blume**속씨식물 / 비름과(Amaranthaceae)**에 속함‘우슬’은 줄기에 마디가 있어 그 형태가 소의 무릎과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실제로는 뿌리가 약재로 쓰이며, 이 뿌리는 길고 마디가 선명한 황갈색 덩이뿌리입니다.중국에서는 하남성 회경(懷慶) 지방에서 나는 우슬을 최고로 쳐서 ‘회우슬(懷牛膝)’이라 부르며 귀한 약재로 여깁니다.2. 약성(藥性)과 맛약성: 평(平) → 성질이 순하고 따뜻하지도 차지도 않음맛:..

법주를 활용한 요리 레시피, 법주 장아찌 간장소스, 법주 닭백숙, 법주 영양밥 , 법주 젤리 디저트

법주는 맑고 은은한 향과 감칠맛을 지닌 전통 청주로, 요리에서도 훌륭한 향신료 또는 재료로 사용됩니다. 다음은 법주를 활용한 전통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요리 레시피입니다. 1. 법주 장아찌 간장소스— 고기구이, 두부구이에 잘 어울리는 깊은 풍미의 양념 재료:법주 2큰술간장 4큰술설탕 1큰술물 2큰술다진 마늘 1작은술생강즙 소량참기름, 깨소금 약간 만드는 법:모든 재료를 냄비에 넣고 중불에서 3~5분 끓입니다.법주의 은은한 향이 날아가지 않도록 너무 오래 끓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완성된 소스를 고기나 채소 장아찌에 뿌려 먹습니다. 2. 법주 닭백숙— 알코올은 증발하고 향만 남아, 속을 따뜻하게 데우는 보양식 재료:영계 1마리법주 1컵물 6컵마늘, 대파, 생강대추, 찹쌀, 인삼 (선택) 만드는 법:영계 안에 찹..

한국의 전통주 2025.04.24

한국의 전통주 법주, 궁중 제례주, 명주(名酒)

한국의 전통주 **법주(法酒)**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궁중 제례주’ 또는 ‘명주(名酒)’로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깊은 술입니다. 1. 법주의 유래● 어원 및 의미‘법주(法酒)’란 말은 ‘법(法,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정성껏 빚은 술이란 뜻에서 유래.궁중에서 의례적으로 사용한 술이기도 하며, 조선 시대에는 왕실과 사대부 집안의 제사상에 반드시 올려졌던 대표적인 제례주였습니다.● 역사적 배경고려 후기부터 전해지는 기록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특히 충청북도 청주에서 생산된 청주법주가 가장 유명했습니다.《동국여지승람》, 《임원경제지》, 《규합총서》 등 고문헌에 자주 등장합니다.법주는 청주의 어원 중 하나이기도 하며, ‘청주(淸酒)’라는 지역명 또한 이 술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존재합니다..

한국의 전통주 2025.04.24

인도의 전통 발효식품 이들리(Idli), 아침을 깨우는 부드러운 발효식품

인도네시아가 아닌 인도 남부에서 유래한 발효식품인 이들리(Idli) 는 수천 년의 역사를 지닌 전통적인 발효 쌀 케이크입니다. 아침 식사로 많이 먹으며, 오늘날 전 세계 인도 커뮤니티에서도 사랑받고 있습니다. 1. 이들리(Idli)의 유래기원: 인도 남부, 특히 **타밀나두(Tamil Nadu)**와 카르나타카(Karnataka) 지방에서 기원.역사: 약 1,00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음식. 10세기경 인도 남부 문헌 《Vaddaradhane》에서 ‘이도리(Iddalige)’라는 유사 이름이 등장.종교와의 연관성: 순수한 채식이며 발효되어 소화에 좋아, 힌두 사원 음식으로도 쓰였음.해외 전파: 남인도 디아스포라를 통해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으로 전파. 2. 영양성분 및 건강 효능영양소내용주..

인도 전통주 마흐와(Mahua), 숲이 빚어낸 신성한 술, 인도의 향기와 전통을 담다

인도 전통주 **마흐와(Mahua)**는 인도 중부와 동부 지역의 부족 공동체에서 오랜 세월 동안 전승되어온 독특한 전통주입니다. 주로 마흐와 꽃에서 당분을 추출하여 자연 발효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인도 전통문화 속에서 의례, 축제, 약용, 사회적 유대의 매개체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1. 유래와 역사적 배경기원 지역: 주로 마디아프라데시(Madhya Pradesh), 차티스가르(Chhattisgarh), 자르칸드(Jharkhand), 오디샤(Odisha) 지역의 트라이벌(tribal, 부족) 공동체에서 기원원재료: *마흐와 나무(Madhuca longifolia)*의 꽃문화적 의미:부족 사회에서 신에게 바치는 술, 혼례주, 명절주로 사용여성들이 제조를 주도하고, 세대 간 전승힌두 신화에서는 ‘신성한..

글로벌 전통주 2025.04.24

약용식물을 주원료로 한 기미, 검버섯 제거용 화장품

약용식물을 주원료로 한 기미, 검버섯 제거용 화장품은 피부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작용, 피부 재생 촉진 등을 통해 색소침착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자연주의 DIY 화품 레시피와 함께 주요 약용 식물, 작용 원리, 주의사항까지 정리. 1. 주요 약용식물 원료약용식물주요 효능활용 형태감초(甘草)항염, 미백, 멜라닌 억제감초추출물, 감초가루자초(紫草)항산화, 피부재생, 색소침착 개선자초 인퓨즈 오일백지(白芷)미백, 진정, 색소침착 완화백지분말, 백지 추출수울금(강황)항염, 항산화, 기미 개선울금분말, 울금추출물작약(芍藥)혈액순환 촉진, 피부톤 개선작약 추출수 2. 기미·검버섯 완화용 미백 크림 레시피 자초 감초 미백 크림 준비 재료 (50g 기준)자초 인퓨즈 오일 20g시어버터 10g호호바오일 5..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과 맞물리다?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과 맞물리다?2025년, 전 세계 14억 가톨릭 신자들의 정신적 지주였던 **프란치스코 교황(88)**이 4월 21일 선종하면서, 그와 관련된 16세기 점성가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프란치스코 교황은 생전 평생 호흡기 질환을 앓았으며, 최근에는 건강이 급속히 악화되었고, 공식적으로는 뇌혈관 질환으로 선종했다. 그가 최초의 아메리카 대륙 출신 교황이자, 비(非)유럽권 출신의 교황이었다는 점에서 그의 재임은 전 세계 가톨릭계에 큰 의미를 남겼다. 노스트라다무스의 2025년 예언과의 기묘한 교차1555년 출간된 미셸 드 노스트르담(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집에는 2025년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문구가 포함되어 있다:“노령의 교황이 서거한 뒤, 교황의..

건강한 일상 2025.04.24

유목 문화와 신성한 음료, 몽골 전통주 슈미스(Shumis), 유래 역사 현대화

몽골 전통주 **슈미스(Shumis)**는 유목 민족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된 발효 음료로, 전통적인 재료와 발효 방식을 통해 만들어진 귀중한 문화 유산입니다. 슈미스의 유래부터 영양성분, 효능, 특징, 제조법, 현대화 가능성까지 . 1. 슈미스(Shumis)의 유래와 역사기원: 슈미스는 몽골 전통 유목문화에서 유래한 젖 발효주로, 주로 양, 염소, 낙타, 말, 혹은 야크의 젖을 발효시켜 만든 술입니다. 특히 낙타젖 슈미스가 가장 귀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문화적 의미: 나담 축제나 의례, 손님 접대 시 귀한 음료로 제공되며, 치유와 건강 회복에 좋은 전통 약주로도 간주됩니다.샤머니즘적 요소: 슈미스는 때때로 하늘에 바치는 제물로 쓰이기도 했으며, 장수와 건강을 상징했습니다. 2. 영양성분슈미스는 젖을 발..

글로벌 전통주 2025.04.23

중국 전통 발효식품, 장유와 율래의 깊은 맛과 과학

중국의 전통 발효식품 ‘장유(醬油, 간장)’와 ‘율래(酪酪, 류나이: 유유발효품)에 대해 각각 유래부터 현대화 응용까지 1. 장유 (醬油, Soy Sauce)1) 유래와 역사기원: 약 2,500년 전 춘추전국시대에 발효된 콩으로 만든 장(醬)의 일종에서 유래됨.발달: 한나라 시기 ‘간장(鹹醬)’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며, 장유는 단순한 콩 장이 아니라 액체 상태의 발효 조미료로 발전.문화적 배경: 중국 고대 음식문화에서 ‘오미(五味)’를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 발효 조미료로 사용됨.2) 주요 재료 및 전통 제조법주재료: 대두, 밀, 소금, 물전통 방식:① 삶은 콩과 볶은 밀을 섞어 곰팡이균(주로 Aspergillus oryzae)으로 발효② 된장처럼 띄워 발효숙성 3~6개월 이상 진행③ 물을 더해 짜낸 액체..

자연이 빚은 약용주, 전통주 죽력고

전통주 **죽력고(竹瀝膏)**는 조선 시대 궁중에서 약용주로 애용되었던 귀한 술로, **대나무 즙(죽력)**을 주재료로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죽(竹)’은 대나무, ‘력(瀝)’은 즙을 짜낸 액체, ‘고(膏)’는 농축된 진한 액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죽력고는 대나무 즙을 농축시켜 만든 고약 형태의 약용주라 할 수 있습니다. 1. 유래 및 역사● 유래조선 중기 이후에 궁중 및 사대부가에서 **보양주(保養酒)**로 음용되었습니다.한방 약재와 대나무 즙을 배합해 만든 죽력고는, 일반적인 주류가 아니라 **의약적 목적의 ‘약용주’**로 분류됩니다.《동의보감》, 《의방유취》 등에 죽력고의 제법과 효능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사적 특징궁중에서 여름철 더위를 식히고, 체내 열을 내..

한국의 전통주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