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개요
항목내용
학명 | Gentiana scabra 또는 Gentiana triflora |
속명 / 과명 | 용담속 (Gentiana) / 용담과 (Gentianaceae) |
한약명 | 용담(龍膽) |
사용 부위 | 뿌리 (건조한 근경 사용) |
맛과 성질 | 매우 쓰고 찬 성질 (苦寒) |
주요 특징 | 강한 쓴맛의 한약재로 간·담을 맑게 하고 염증을 없애는 데 전통적으로 사용됨 |
2. 주요 영양성분 및 약리 성분
성분명주요 효과
겐티오피크린 (gentiopicrin) | 대표적인 쓴맛 성분, 해열 및 항염 효과 |
스웨르티아마린 (swertiamarin) | 간 보호, 항산화 작용 |
겐티오닌 (gentianine) | 항염증, 진통 효과 |
플라보노이드 | 항산화, 혈액순환 촉진 |
이리도이드 배당체 | 항암, 간 기능 보호 |
탄닌, 정유 성분 | 수렴 작용, 염증 완화 |
3. 주요 효능
구분설명

해열·소염 작용 | 용담은 ‘苦寒(고한)’한 성질로 체내 열을 내려주며, 감기, 인후염, 구강염, 편도선염 등 염증성 열성 질환에 효과가 있습니다. 피부 트러블(열성 여드름 등)에도 활용됩니다. |
항암 효과 | 겐티오닌(gentianine), 플라보노이드, 이리도이드 배당체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종양 성장을 간접적으로 억제하는 기능이 보고되었습니다. 위암, 간암 관련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
이담 작용 | 간과 담에 쌓인 열을 내려주는 대표 약재로, 황달, 담즙 울체, 쓴맛 트림, 입마름 등 간담의 기능 이상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간 해독 및 기능 강화 | 숙취 해소, 간 피로 회복, 간수치 상승(ALT, AST)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간의 열을 꺼서 눈과 귀를 밝게 한다’는 효능도 강조됩니다. |
이뇨 작용 | 소변 배출을 촉진하여 부종을 줄이고, 체내 독소와 노폐물 배출에 기여합니다. 열성 요로감염이나 방광염 증상에도 응용됩니다. |
항균·항바이러스 | 용담 추출물은 세균(황색포도상구균, 폐렴균 등)과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으며, 염증성 질환 및 감염성 피부질환에 활용됩니다. |

4. 활용법 (전통 내복/외용 + 현대 응용)
① 용담탕 (한방차)
항목설명
재료 | 용담 건근(건조한 뿌리) 3~6g |
끓이는 방법 | 물 500ml에 약한 불로 20 |
섭취 시기 | 식후 또는 저녁 시간에 섭취 권장 |
효능 | 간열 제거, 두통·어지럼·눈 충혈·입마름 완화, 해열 및 간 기능 보조 |
팁: 쓴맛이 강하므로 감초나 대추를 함께 달이면 부드러워짐
② 용담 복합탕 (전통 복합 처방 예시)
대표 처방: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 구성 한약재 | 용담, 황금, 치자, 생지황, 목통, 차전자, 당귀, 시호, 감초 등 |
| 용도 | 간담의 열을 제거하여 눈병, 귀울림, 고혈압, 소양증, 여성의 하초 습열 증상(대하, 소양증 등) 개선 |
| 복용법 | 전문 한의사 처방에 따라 탕제로 달여 하루 2회 식후 복용 |
현대 연구: 용담사간탕은 아토피성 피부염, 염증성 비뇨기 질환 보조 치료에도 쓰임
③ 용담주 (기능성 약술)
항목설명
재료 | 용담 뿌리 10g + 소주 또는 곡물 증류주(25~40도) 1L |
만드는 법 | 밀폐 용기에 넣고 어둡고 서늘한 곳에서 30일 이상 침출 |
섭취량 | 하루 1 |
효능 | 위장 소화 촉진, 간 해독, 숙취 해소, 피로 회복, 가벼운 두통 완화 |
주의: 과용 시 위 점막 자극 → 1일 총 섭취량 30ml 이하 권장
④ 용담 외용탕 (피부질환 외용)
항목설명
재료 | 용담 건조근 10~15g + 물 1L |
사용법 | 약한 불에서 30분 달인 후 식혀 거름 → 세안/세척/찜질에 사용 |
활용 부위 | 습진, 열성 여드름, 가려움, 두드러기, 발진 부위 |
빈도 | 하루 1~2회, 1주일 이상 지속 사용 시 효과적 |
민감성 피부는 소량 테스트 후 사용 권장
요약
활용법형식주요 효과
용담차 | 탕제 | 간열 제거, 두통·눈 충혈 개선 |
용담사간탕 | 복합탕 | 간담 열 제거, 고혈압·피부질환 보조 |
용담주 | 약용 담금주 | 위장·간 기능 회복, 숙취 해소 |
용담 외용수 | 피부 세정수 | 피부 염증, 습진, 열성 트러블 완화 |
5. 주의사항
항목설명
성질이 매우 차다 | 허약하고 냉증이 심한 사람은 복용 주의 |
장기 복용 금지 | 쓴맛 성분이 위를 자극 → 위장 장애 유발 가능성 있음 |
임산부·소아 금기 | 자궁 수축 유도 가능성, 어린아이에게는 강한 자극 |
약물 상호작용 | 간대사 관련 약물 복용자와 병용 시 전문가 상담 필요 |
복용 시기 | 식후에 복용하는 것이 위 부담 줄임 |
6. 전통 vs 현대 활용 비교
구분전통 활용현대 활용
내복 | 용담탕, 용담사간탕 등 한방 복합 처방 | 항산화/간 보호 성분 추출 후 건강기능식품 |
외용 | 습진·피부염 환부 세척 | 화장품 원료(진정 크림, 청량 토너 등) |
약술 | 피로 해소용 약주 | 기능성 주류 개발에 활용 가능 |
연구 개발 | 한약재로서 활용 | 항암제 및 간보호제 후보 물질로 연구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