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주

전통주 청명주(淸明酒), 고려·조선 시대의 봄맞이 절기주 전통에서 유래

가천 이박사 2025. 5. 18. 01:23
반응형

1. 청명주(淸明酒) 개요와 유래

항목내용
이름 청명주(淸明酒)
의미 ‘청명한 날에 마시는 술’로, 청명절(음력 3월 초 무렵)에 담그는 제사 또는 절기용 전통주
기원 중국 당나라 시대 제례 문화에 영향을 받은 고려·조선 시대의 봄맞이 절기주 전통에서 유래
용도 봄철 성묘, 제사, 조상의 덕을 기리며 마시는 술 (음력 3월경 청명절, 한식과 함께 행해짐)

 

 2. 주요 원재료와 영양성분

분류내용
주원료 찹쌀, 맵쌀, 누룩 (곡자), 약재 또는 꽃(진달래 등)을 첨가하기도 함
부재료 생강, 계피, 감초, 진피 등 계절성 약초
영양성분 탄수화물, 아미노산, 유기산, 효소, 알코올(도수 8~15%), 미량의 미네랄 및 항산화 물질
발효 자연 발효 및 곡물 당화 효모에 의한 이중 작용
 

 

 3. 효능 및 기능성

작용 범위설명
 소화 개선 누룩과 약재가 위장을 따뜻하게 해 소화기능 촉진
 항산화 작용 누룩 발효 과정에서 생기는 페놀 성분이 체내 염증 감소
 면역력 증진 발효를 통해 생성된 효소 및 유산균이 장 건강 도움
 춘곤증 해소 따뜻한 성질의 생강, 계피가 봄철 나른함을 완화
 

 4. 전통 제조법 (6단계)

단계설명
① 곡물 준비 찹쌀 또는 멥쌀을 깨끗이 씻어 불림 후 찐 후 식힘
② 누룩 혼합 식힌 찹쌀에 누룩 가루를 골고루 섞음
③ 1차 발효 항아리에 넣고 1차 발효(실온 7~10일) 진행
④ 약재 첨가 생강, 계피, 감초 등을 넣고 향과 기능 부여
⑤ 2차 발효 저온에서 10일 이상 숙성하며 술맛 완성
⑥ 여과 및 저장 천 등으로 거른 뒤 병에 담아 냉암소 보관
 

※ 전통 방식은 항아리를 활용해 땅속에 묻거나 온도 유지가 관건이었음.

 5. 시대적 변화

시대변화 내용
고려~조선 청명절, 한식 명절 전후로 가정마다 술을 담가 성묘용으로 사용
일제강점기 주세법 제정으로 가내 주조 금지 → 청명주의 가정 제조 중단
현대 전통주 복원 운동, 지역 문화제 등에서 다시 재현·판매
최근 1인 가구와 소용량 전통주 수요 증가로 청명주 소포장 상품 출시 시도
 

 

 6. 현대화된 청명주의 사례

적용 방식설명
플라워 주정 발효 진달래, 매화 등 봄꽃을 함께 담가 향긋한 풍미 부여
저온발효 기술 접목 향과 맛을 유지하면서 위생적 발효 가능
브랜딩 ‘봄의 술’, ‘절기주’ 콘셉트로 명절·선물용 출시
RTD화(Ready-to-drink) 탄산을 첨가한 청명주 스파클링 버전 출시 준비
한정판 굿즈 패키지 청명절 한정 패키지 구성(제기세트, 떡과 술 세트 등)도 유행
 

 7. 기타 활용법

  • 청명주 칵테일: 유자청, 매실청, 레몬즙 등을 섞어 상큼하게 마실 수 있음
  • 절기 음식 페어링: 쑥전, 화전, 두부김치 등 봄 절기 음식과 잘 어울림
  • 전통문화 교육 콘텐츠: 청명·한식 관련 수업 및 체험학습 재료로 활용 가능

 요약 카드

항목내용

 

이름 청명주 (淸明酒)
시기 음력 3월 (청명절, 한식 무렵)
효능 소화 촉진, 항산화, 면역 강화, 춘곤증 해소
전통 제조 찹쌀 + 누룩 + 약재 / 항아리 자연 발효
현대화 스파클링, RTD, 절기 한정판 등으로 재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