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주

전통주 제호탕주(醍醐湯酒), 여름철 갈증해소, 위장강화용 한방차로 사용된 궁중 음료. 여기에 술을 첨가한 것

가천 이박사 2025. 5. 16. 15:50
반응형

한국의 전통주 제호탕주(醍醐湯酒), 에 대한 유래, 영양 성분, 효능, 제조법, 시대적 변화 및 현대화까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제호탕주 개요

항목내용
이름 제호탕주 (醍醐湯酒, Jeho-tang-ju)
분류 약용 전통주, 침출주
어원 ‘제호탕(醍醐湯)’은 본래 여름철 갈증해소, 위장강화용 한방차로 사용된 궁중 음료. 여기에 술을 첨가한 것이 ‘제호탕주’
성질 약한 단맛과 쌉쌀한 맛이 조화됨. 청량감 있음
 

 

 1. 유래 및 역사적 배경

  • 조선시대 궁중음료에서 유래: 원래 제호탕은 여름철 보양음료로, 조선시대 궁궐과 양반가에서 주로 음용되었습니다.
  • 임금의 여름 음료: 《동의보감》·《산림경제》 등에 등장하며, 임금이나 고위 관료들이 더위를 이기고 기력 보충을 위해 즐겼습니다.
  • 후대에 술로 응용: 제호탕의 효능을 살리기 위해 약재 성분을 술에 담가 침출한 ‘제호탕주’ 형태로 발전함.

 

2. 영양성분 및 주요 약재

약재명주요 성분효능
백단향 정유 성분 위장 기능 개선, 냉기 제거
사인 terpineol 소화 촉진, 위산 조절
초과 borneol, camphene 항균작용, 소화 불량 개선
진피 hesperidin 기혈 순환, 소화 조절
감초 glycyrrhizin 간 보호, 해독작용, 맛 중화
포도당, 과당 에너지 보충, 항균
 

일반적인 제호탕은 약재를 끓여 차처럼 마시지만, 제호탕주는 이 성분들을 술에 침출하거나 함께 달여서 발효한 형태임.

 

 3. 효능 및 건강 효과

분류효능 설명
위장 보호 위산 과다, 소화불량, 더위로 인한 식욕 부진 개선
갈증 해소 청량감과 꿀의 당 성분으로 수분 보충 효과
피로 회복 한방 약재의 강장 효과 및 당분 보충
해독 및 면역 감초, 진피 등은 항산화 및 간 기능 보호 효과
여름철 보양 더위로 인한 체력 저하 회복용 약주로 인기
 

 

 4. 전통 제조법 (6단계 요약)

단계설명
① 약재 준비 백단향, 진피, 사인, 초과, 감초 등을 깨끗이 세척 후 건조
② 침출 또는 달임 약재를 소주 또는 청주에 넣고 밀봉해 2~3주 침출 또는 약탕기에서 끓여 우림
③ 여과 약재를 걸러내고 맑은 술만 추출
④ 꿀 첨가 식힌 후 천연 벌꿀을 섞어 단맛 부여
⑤ 숙성 1~2주 정도 냉암소에서 후숙성 (맛 균형 형성)
⑥ 병입 및 보관 유리병에 담아 밀봉, 서늘한 곳에 보관 (3~6개월 이내 소비 권장)
 

 

 5. 시대별 변화

시대특징
조선 초기 순수한 약탕 형태로 사용됨 (음료)
조선 후기 사대부가 중심으로 술에 침출한 약용주 형태 유행
일제강점기 침출주의 생산이 크게 줄고 단순 약차로 소비됨
현대 전통주 복원 및 관광상품으로 재조명 → ‘전통 약주’ 카테고리에서 판매됨
 

 

 6. 현대화 및 응용

분야현대적 응용
식품 산업 RTD(Ready to Drink) 약용 리큐르 또는 무알콜 음료로 재탄생
관광 상품화 궁중문화재연구소나 전통주 체험장에서 ‘궁중제호탕주’ 체험 키트 제공
웰빙 트렌드 소화 개선 술로 마케팅 (예: “식전주로 좋은 약용 전통주”)
기능성 화장품 일부 성분(진피, 초과, 감초)은 피부 트러블 진정·미백 성분으로 활용됨
 

 

 7. 주의사항

  • 과다 음용 주의: 일부 약재(초과, 감초 등)는 다량 섭취 시 위 자극 가능
  • 저혈압자 주의: 냉 성질이 있어 혈압이 낮은 사람은 음용량 조절 필요
  • 숙성기간 필수 준수: 충분히 침출되지 않은 경우 약재 냄새나 떫은맛이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