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통주 **초두주(椒豆酒)**는 조선시대 문헌에 등장하는 한방 술로, 말 그대로 **“초(椒, 산초)”와 “두(豆, 콩류)”**를 주재료로 담근 약용주입니다. 아래는 초두주의 유래부터 현대적 응용까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초두주 개요
항목내용

이름 | 초두주(椒豆酒) |
의미 | 산초(초)와 콩(두)을 주재료로 빚은 약용 전통주 |
분류 | 한방약주, 기능성주 |
성질 | 따뜻하고 매운 성질로 몸을 데워주는 작용 |

2. 유래 및 역사적 배경
- 출전 문헌: 《동의보감》, 《제민요술》, 《임원경제지》 등
- 기원: 고려 말~조선 초 추정. 본디 위장기능 강화, 한기 제거, 신체 활력 보강을 목적으로 사용됨.
- 사용 방식: 일반 음용보다는 소량씩 복용하는 약술로 사용됨.
3. 주요 원료 및 영양성분
재료성분 및 효능
산초(초피) | 산분해성 정유 성분 (산쇼올, 리모넨) → 위장운동 촉진, 항균작용 |
콩(흑두/청대두) | 이소플라본, 사포닌, 단백질 → 여성호르몬 조절, 면역력 강화 |
찹쌀/멥쌀 | 탄수화물, 비타민 B군 → 발효용 베이스 |
누룩 | 효소, 효모 → 자연발효 유도 |
4. 효능 및 의학적 가치
효능설명

소화기 강화 | 산초가 위액 분비를 촉진해 소화 불량에 효과 |
체내 냉증 개선 | 따뜻한 성질이 몸을 덥혀 냉증, 손발 차가움 개선 |
풍습 제거 | 한방에서 말하는 ‘풍습(風濕)’ – 관절통, 뻣뻣함 해소 |
갱년기 여성 보조 효과 | 콩 이소플라본이 여성호르몬 유사 작용 |
살균·항염 작용 | 산초 성분의 항균력이 위장염, 장 트러블 예방에 도움 |

5. 전통 제조법 (6단계 요약)
단계설명
① 콩 준비 | 흑두 또는 청대두를 깨끗이 씻어 삶고 식힌다 |
② 산초 혼합 | 산초(또는 초피)를 적당량 준비하여 콩과 섞음 |
③ 곡물 혼합 | 찹쌀 또는 멥쌀을 쪄서 베이스를 만든다 |
④ 누룩 투입 | 전통 누룩을 넣고 섞어 발효 시작 |
⑤ 항아리 발효 | 밀폐 항아리에서 서늘한 곳에서 2주~1개월 발효 |
⑥ 여과 및 숙성 | 거름망으로 걸러 병입 후 1~3개월 숙성시켜 완성 |
6. 현대화 및 응용 변화
항목내용
현대 원료 개선 | 건조 산초 분말, 유기농 흑두 사용 |
발효 효율 향상 | 효모 균주 분리 및 클린룸에서 위생 발효 적용 |
기능성 제품화 | 위장약 성분 중심으로 건강기능식품 인증 추진 |
현대적 포장 | 병입 디자인을 한방 이미지와 결합해 프리미엄 상품화 |
융합 제품 | 초두 리큐르, 칵테일 베이스 등으로 응용 확장 중 |
7. 현대 스타일 초두주 칵테일 제안
① 초두진저 (Chodu Ginger)
- 재료: 초두주 40ml + 진저에일 100ml + 라임 슬라이스
- 특징: 상쾌한 향과 위장 따뜻함을 함께 느낄 수 있음
② 블랙빈 마티니
- 재료: 초두주 30ml + 보드카 30ml + 커피리큐르 10ml
- 특징: 흑두의 구수한 뒷맛과 진한 향의 조화
8. 주의사항
- 고혈압 환자: 산초의 자극 성분이 혈압을 올릴 수 있어 주의
- 과음 금지: 약술 특성상 적당량 섭취만 권장 (하루 30~60ml)
- 알러지 반응 주의: 콩과 산초 모두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있음
'한국의 전통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주 소문주(蘇門酒), 약재와 곡물을 함께 사용하여 만든 고급 약용주, 궁중에서도 높이 평가된 귀한 술, (8) | 2025.05.21 |
---|---|
전통주 가야곡왕주(伽倻谷王酒), 조선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경상북도 성주 지역의 명주(名酒) (14) | 2025.05.20 |
전통주 청명주(淸明酒), 고려·조선 시대의 봄맞이 절기주 전통에서 유래 (4) | 2025.05.18 |
전통주 제호탕주(醍醐湯酒), 여름철 갈증해소, 위장강화용 한방차로 사용된 궁중 음료. 여기에 술을 첨가한 것 (10) | 2025.05.16 |
전통주 전주 모주(母酒), 알코올 함량이 매우 낮은 약용 성격의 음료, 전주 한옥마을과 전통시장 등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독특한 지역 전통주 (9)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