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일상

2025년5월 21일,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인 '소만(小滿), 세시풍속

가천 이박사 2025. 5. 18. 02:34
반응형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인 '소만(小滿)'**에 대한 유래, 세시풍속, 음식, 민속놀이, 속담 등을 체계적으로 

 1. 기본 개요

항목내용
절기명 소만 (小滿)
절기 순서 24절기 중 제8번째
시기 양력 5월 20일~22일경 (태양 황경 60도). 2025년 5월 21일
음력 기준 보통 음력 4월 중
의미 "만물이 점차 차오른다"는 뜻. 생명이 충만해지는 시기
 

소만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들며, 본격적인 여름으로 접어드는 초여름(孟夏) 절기로, 햇살이 풍부하고 기온이 점차 오르며 식물과 곡식이 무성해지는 시기입니다. 이때부터 농촌은 1년 중 가장 바쁜 시기를 맞이합니다.

 2. 절기의 자연 변화와 농사

자연 변화내용
식물 생장 보리이삭이 익고, 모내기철 시작. 들과 산은 초록 신록으로 덮임
기후 특징 낮의 길이가 확연히 길어지고 햇볕 많음. 하지만 일교차와 찬 바람 여전
대표 식생 씀바귀, 냉이, 보리, 죽순, 죽맥(대나무 밀), 추맥(가을 밀)
농사 준비 모판 정리, 모내기 본격화, 밭작물 김매기, 보리 수확 준비
계절 상징 동물 부엉이(산에서 울음소리 들리는 시기)
 

🔹 모내기 시기
전통적으로 모판에서 모를 키운 후 40~50일 뒤에 모내기를 했으나, 비닐하우스 도입 후 소만 시점부터 바로 모내기가 가능해졌습니다.

🔹 보릿고개
소만 무렵은 보리가 익기 직전으로, 예전 농촌에서는 지난해 곡식이 떨어지고 새 곡식이 아직 익지 않아 가장 배고픈 시기였기에 '보릿고개'라는 말이 생겼습니다.

 3. 민간 음식과 식문화

시기 음식특징
씀바귀나물 씀바귀는 씁쓸한 맛이 특징이며, 데쳐서 초고추장에 무침
냉이 이 시기엔 냉이가 시들고 누렇게 되지만 냉잇국으로 자주 활용
죽순요리 초후 전후 죽순 채취, 고추장이나 양념장에 무침 별미
보리밥/보리개떡 보리가 익는 시점에 수확한 햇보리로 만든 전통 음식
누른죽 곡식 부족한 시절 묽게 끓여 먹던 전통 죽 요리
된장국, 국수 기운 없고 입맛 떨어질 때 구황용으로 활용
 

 대나무 죽순은 봄철 대표 식재료이며, 이 시기에는 어른이 먹을 것보다 자식을 위한 영양 식품으로 여겨졌습니다.

 4. 세시풍속 및 민속놀이

소만 자체에 뚜렷한 놀이가 많지는 않지만, 농번기 시작을 알리는 절기답게 아래와 같은 활동들이 관찰됩니다.

민속활동내용
모내기 풍습 모내기 전 풍년 기원제 지냄. 마을 공동 노동 형태로 진행
공동 농사 협력 두레, 품앗이 문화 활성화
씨름과 들놀음 김매기 끝난 후 청년들이 모여 씨름·들놀이 즐김
뱀 쫓기 민속 뱀이 많이 출몰하는 시기라 마을에서 쑥, 황토로 퇴치 의례 진행
 

 일부 지역에서는 소만 무렵에 “모심기 소리”를 통해 일의 흥을 돋우고 공동체 단합을 기원하기도 했습니다.

 5. 중국의 삼후(三候) 문화

중국은 소만 시기를 아래처럼 5일 간격의 삼후로 세분화합니다.

구분현상 및 의미
초후 씀바귀가 돋아남 → 식물의 본격적 성장 시작
중후 냉이가 누렇게 시듦 → 봄나물의 퇴장
말후 보리가 익기 시작 → 여름 곡식 수확기 접어듦
 

 

 6. 생태적 상징 - 죽추(竹秋)

"모든 나무가 푸르른데 대나무만 누렇게 된다."

이는 죽순에 영양을 몰아주는 대나무의 자기희생적 생장 특성을 묘사한 표현입니다.
죽추(竹秋): ‘대나무의 가을’, 자식을 위한 희생을 상징하는 자연미학으로 회자됨.

 7. 속담과 민간어구

속담 및 표현의미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아직은 찬 바람이 남아 있어 건강에 주의가 필요함
“소만에 보리잎 베어논다” 이 시기 보리가 무성해져 베어야 할 정도
“소만 고추 심어 삼복 고추 따먹는다” 이때 고추 심으면 여름 끝에 수확 가능
 

 

 참고문헌 및 자료 출처

  • 『농가월령가』
  • 『사시찬요(四時纂要)』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국립민속박물관
  • 『성문화원, 홍성의 민속』(1994)

『절기와 농촌의 삶』, 민속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