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면허만 따고 떠나는 군의관들… ‘의대 군위탁제도’의 역설
제도 취지와 현재 운영 실태
정부는 군 의료 인력 확충을 위해 **‘의대 군위탁 제도’**를 운영 중이다.
매년 10명 내외의 현역 장교를 선발해 **서울대, 연세대 의대 본과 과정(4년)**과 **전공의 수련(5년)**을 무상 지원하고, 총 10년간 군 복무를 조건으로 ‘군의관’을 양성한다.
하지만 의무복무 종료 이후 바로 전역하는 비율이 75%를 넘는 현실이 드러났다.
2016~2025년 의무복무 종료자 | 42명 |
이 중 전역한 인원 | 32명 (76.2%) |
의무복무 직후 전역한 인원 | 14명 |

제도의 악용? “의사면허 취득 루트로 전락”
군 의료체계의 중간 허리 역할을 해야 할 이들이 면허 취득 후 민간 개원으로 빠져나가면서, 국방 예산이 개인 경력 쌓기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 비용 문제: 세금으로 고급 의사를 양성했지만, 군 내에서의 활용은 10년 미만
- 인력 공백: 중견 군의관층 붕괴 → 군병원, 의무대 등의 전문성 약화
- 신분 상승 루트: “사관학교 → 위탁의대 → 전문의 → 개원”은 이득 계산이 확실한 코스
위탁의대 지원자 수 급증 추세
이러한 인식 속에 의대 군위탁 제도 지원자는 최근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23학년도 | 60명 |
2024학년도 | 66명 |
2025학년도 | 105명 |
심지어 사관학교 출신 지원자도 급증하고 있다.
- 2023학년도: 29명
- 2025학년도: 79명 (3배 증가)
2025년 서울대 위탁의대 합격자 3명 전원 ‘육사 출신’
연세대 의대 11명 중 8명 사관학교 출신
사관학교 출신의 고민
육군사관학교 출신 A 대위는 이렇게 말한다.
“군에서 오래 근무할 의사가 되는 길이 아니라, 장교들이 새로운 신분 상승 경로로 위탁의대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장기 복무보다 개원·이직을 고려한 현실적인 선택이 된 것이죠.”
군 의료체계의 근간이 흔들린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강대식 의원(국민의힘)**은 지적한다.
“의도는 훌륭했지만, 상당수가 군을 떠나며 군의료 체계의 허리가 무너지고 있다. 제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해결 방안은?
- 복무 연장 유인: 10년 이상 복무자에게 진료권, 교육, 정착금 등의 인센티브 제공
- 위약금 조항 강화: 조기 전역 시 학비·수련비용 일부 환수 등 조건 부여
- 사관학교-위탁 분리 운영 검토: 군 장기 인재 양성과 의사 양성 목적을 구분
맺으며
'의대 군위탁 제도'는 본래 군의료 인력 양성을 통한 국가안보 뒷받침을 목적으로 했다.
하지만 지금은 개인의 커리어 점프대로 기능하면서 군 의료 공백과 예산 낭비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국방부는 명확한 정책 목적과 성과의 균형을 재점검하고, 지속가능한 군 보건 체계를 위한 제도적 보완에 나서야 할 시점이다.
'건강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기준, 인구 소멸 위험이 가장 높은 대한민국 10개 도시, 상세 설명 (5) | 2025.05.23 |
---|---|
급속히 진행 중인 초고령화, 지속가능한 고령화 사회의 해법은 ‘건강한 노인’ (18) | 2025.05.23 |
성년의 날 (매년 5월 셋째 주 월요일), 법적·사회적으로 독립된 인격체로 인정되는 전환점 (12) | 2025.05.19 |
2025년5월 21일,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인 '소만(小滿), 세시풍속 (9) | 2025.05.18 |
5·18 광주 민주화운동,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광주에서 발생한 대한민국 현대사의 중대한 민주화 운동 (12) | 2025.05.16 |